신년기획 / 성장 멈춘 울산, 터닝포인트가 필요하다
(중)강소·중소기업 육성과 유치로 도시활력 되찾자

울산 중소기업 종사자수
산업고용인력 80% 차지
중소기업 활동여건 열악
市, 다양한 창업독려에도
3~5년차 생존율 급락 한계
맞춤형 지원·규제완화 필요

울산의 3대 주력제조업이 성장한계에 도달하면서 대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개편하고 장기적으로 지역경제의 허리역할을 하는 건전한 중소기업 중심의 산업생태계 조성은 당면 과제가 됐다. 지속적인 벤처기업 창업 등으로 새 바람을 불어넣고 고용창출력이 높은 기술강소기업의 유치·육성은 무너져가는 울산경제에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 울산의 중소기업은 지역전체 산업고용인력의 80% 이상을 점유할 정도로 일자리 창출비중이 매우 높다. 그러나 대기업 중심의 울산에선 “중소기업 하기 어렵다”는 기업인들의 인식이 팽배할 정도로 중소기업의 토양은 여전히 척박하다. 창업기업과 기술강소기업들이 보다 기업활동하기 좋은 여건 조성을 위한 울산시와 지자체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기업규제완화와 지원책 필요

울산지방중소기업청 등에 따르면 울산 제조업의 경우 2013년도 중소기업 종사자 수가 9만5000명에서 2017년 8만7000명으로 5년 사이에 8000명 가량 감소했다. 이 기간 자동차와 조선 관련 중소기업들의 도산 및 타지역 유출이 컸기 때문이다. 특히 주력산업의 침체 여파가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에 더욱 크게 나타나는 것이다.

울산의 중소기업 수는 현재 7만8000여개, 종사자 수는 43만6000여명이다. 울산지역 전체 사업체 수의 99%와 종사자수 80%에 달하지만 매출액 비중은 20%에 못미치는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벤처기업(확인서 기준)은 480여개, 창업기업은 1만6700여개로 각각 전국에서 1.3%와 1.8%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수준이다.

중소기업의 육성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제도적 보완과 지원정책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중소기업들에게 있어 지자체의 과도한 규제가 성장을 저해하는 걸림돌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A 중소기업 대표는 “정부와 지자체가 지원은 못해 줄지언정 규제는 하지 말았으면 한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사업을 진행하면서 각종 인·허가 문제와 직면해 어려움을 겪는다”며 “대기업처럼 별도의 법무팀과 대응팀이 없는 상황에서 정해진 인원만으로 정부의 기준에 맞춰 허가를 받으려면 그에 따르는 인력적인 기회비용이 만만치 않다”고 지적했다.

◇척박한 지역 중소기업 환경

울산지역에서 ‘미래비전’ ‘자율출퇴근’ ‘삼시세끼’ ‘안식년’ ‘워라밸’ 등 대기업 부럽지 않은 근로환경을 갖춘 ‘일하기 좋은 중소기업’ 수는 전국 지자체 가운데 최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의 ‘2018년 일하기 좋은 중소기업’ 565개사 가운데 울산은 단 2곳만 ‘일하기 좋은 중소기업’에 선정됐을 뿐이다. 전국 일하기 좋은 중소기업 가운데 울산기업 비중은 0.4%에도 못미쳤다. 지역 중소기업들은 대부분 열악한 고용·근무환경속에 성장기반까지 취약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다.

울산지역 지자체에 대한 기업들의 만족도 기대이하로 평가됐다. 대한상공회의소의 ‘2019년 기업환경 우수지역 평가’에서 대부분 중하위권 성적표를 받았다. 특히 ‘경제활동친화성’ 부문 종합평가에서 울산의 전 지자체가 120위 이하로 조사돼 공장설립, 부담금, 지방세정 등 기업활동 관련 지자체별 조례를 대상으로 상위법 위반, 법령 제·개정사항 등에 미흡하다는 분석이다. 지자체의 기업환경 경쟁력이 타 지역에 크게 뒤떨어지다보니 중소기업 창업 부진은 물론 지역기업의 탈울산 사례도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창업·중소기업 적극 육성해야

울산 산업계가 재도약하기 위해서는 창업기업을 키우고, 이들이 건실한 중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산업구조를 개편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특히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IoT(사물인터넷), ICT(정보통신기술), 3D프린팅 등 첨단기술로 무장한 벤처·창업기업은 울산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꼽힌다.

정부와 울산시의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최근 창업생태계와 인프라가 크게 확장됐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창업기업들의 생존율이 하락하는 것은 기업과 더불어 지자체가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울산의 대표적인 창업프로그램인 울산청년CEO 육성사업을 통해 지난해 1기부터 10기까지 1058명이 창업에 성공했으며 이들 기업은 총 500여명의 신규고용을 창출하고 150억원의 매출액을 달성했다.

그러나 창업기업들의 생존율은 창업 3~5년차 ‘데스밸리(death valley)’에 직면하면서 급격히 하락한다. 2018년 기준 울산청년CEO 육성사업 창업기업의 전체 유지율은 37.6%다. 최근 기수인 7~8기가 평균 60% 유지율을 기록한 것에 비해 초창기 1~2기의 생존율은 각각 18.6%, 19.7%로 낮아졌다.

하인성 울산중소벤처기업청장은 “중소기업은 우리 경제의 든든한 허리 역할을 담당하고 있을뿐 아니라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신속한 기술개발과 변화 등 경제와 산업의 역동성을 위해 절대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며 “울산은 기존 대·중소기업간 원-하청구조에 따른 산업구조의 경직성을 넘어 중소기업의 독자브랜드 혹은 완제품 생산기업을 육성하고, 우수한 기술인력을 양성함으로써 기술기반 스타트업 확대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우사기자 woosa@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