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우리나라 인구의 자연증가율이 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0.4%)를 기록하자 연간 인구가 감소하는 ‘데드 크로스’ 현상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다. 이런 가운데 울산에서는 특히 청년인구의 감소가 큰 걱정으로 다가오고 있다. 지난 한해 울산에서는 청년인구와 청년고용률이 동시에 감소했기 때문이다. 산업도시이자 전국에서 가장 젊은 도시였던 지난 수십년간의 영예가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청년이 없는 울산의 미래는 암울할 수밖에 없다.

2019년 울산 청년고용률은 39.1%로 전년 40.4% 보다 1.3%P 줄었다. 전국 평균 43.5%보다 4.4% 낮은 수준이다. 청년취업자수는 7만4000명으로 전년대비 6000명 감소했다. 반면 전국의 청년 취업자수는 394만5000명으로 4만1000명 늘었다. 문제는 전국적으로 청년 고용률이 늘고 있는데 울산만 매년 하락세라는 것이다. 청년인구는 일자리와 비례한다. 청년고용률 감소는 곧 청년인구의 감소로 나타난다. 2019년 울산의 청년인구는 18만9400명으로 전년대비 9100명 줄었다. 4.58% 하락한 수치다. 전국 청년인구는 906만100명으로 전년대비 8만8400명(0.97%) 증가했다. 울산에 있어야 할 청년들이 일자리가 없어 울산을 떠났다는 말이다.

울산시는 청년일자리 창출에 지난한해 224억6000만원을 투입했다. 일자리창출기업 청년일자리사업 35억1000만원, 청년CEO육성사업 16억원, 청년몰활성화 11억7600만원, 2030U-Dream 3억7700만원, 울산청년구직활동지원 3억원, 대학일자리센터운영지원 8억원, 청년일자리희망한마당 1억6200만원, 기능경기대회운영 6억원, 산학일체도제학교 지원사업 7억9400만원, 청년이만드는우리울산프로젝트 3억5000만원, 울산청년일+행복카드 6억원, 울산형청년내일채움공제 3억원, 해운선사청년일자리지원사업 5억7400만원 등이다. 결과적으로 효과가 없었다. 단순히 청년과 기업에 지원금을 주는 것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 여실히 드러난 것이다.

정책의 변화가 절실하다. 청년의 연령대를 몇 살로 잡느냐에 따라 정책의 차이는 있겠으나 청년들의 울산에 대한 호감도를 높일 만한 도시여건을 만드는 것이 우선이다. 청년의 나이에 대해서는 고용부는 18~34세, 청년고용촉진특별법은 15~29세로, 공공기관과 지방공기업은 15~34세로 규정하고 있다. 15세부터 34세까지로 폭이 넓다. 나이에 따라 욕구의 변화가 많은 세대인 만큼 정주여건의 선택기준도 다양해진다. 10대 청년을 울산으로 끌어들이려면 새로운 대학을 유치해야 한다. 20대 중반을 위해서는 청년들의 눈높이에 맞는 기업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특히 제조업 생산공장 중심의 산업구조를 바꾸지 않으면 청년들을 붙잡기는 어렵다. 이들 청년층들이 선호하는 문화적 도시환경 조성도 시급하다. 20대 후반~30대 초반을 고려하면 보육·교육 환경도 매우 중요해진다. 경제구조는 물론이고 사회·문화·교육에 대한 새로운 진단을 통해 온전히 젊은 도시로 거듭날 때 비로소 청년인구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