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철호 울산시장이 11일 울산시의 본회의장에서 시정연설을 했다. 올 한해 울산의 시정을 어떻게 꾸려갈 것인지 계획과 각오를 밝히는 자리다. 송시장은 이 자리에서 “민선7기 3년차를 맞는 올해 주요 현안사업을 본궤도에 올려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시민이 체감하는 시정을 펼치겠다”면서 8가지 항목의 계획을 내놓았다. △좋은 일자리 창출 △과감한 혁신으로 산업위기 돌파 △재난 걱정 없는 안전한 울산 △편리하고 효율적인 도시·교통 구축 △일류 생태정원도시 △울산형 복지 실현 △문화관광산업 생태계 활성화 △시민참여 통한 열린 시정 강화 등으로 지난해 시정연설과 거의 비슷하다.

3년차인 올해는 취임하면서 약속했던 일들, 1~2년차에 제시했던 계획들의 가시적 성과를 나타내야 한다. 그 때문에 지난해와 방향을 맞출 수는 있겠으나 순서조차 바뀌지 않은 시정연설에서 일관성을 엿보기보다는 올 한해도 아무런 새로움이 없을 것이란 지루함을 느끼게 된다. ‘일자리’ 부문과 ‘산업위기 돌파’ 부문을 보면 일자리재단과 노동인권센터, 경제사회화백회의, 농수산물도매시장 현대화, 수소, 게놈, 3D프린팅, 북방경제협력, 울산페이 등이 지난해와 똑같이 언급됐다. 다만 지난 일년간의 성과를 담아 조금 더 구체화하고는 있을 뿐 계속적인 추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굳이 시정연설에서 매년 반복해서 제시할 이유가 있을까 싶다.

시정연설은 올 한해 시장이 어떤 새로운 계획을 어떻게 추진해 어떤 변화를 불러일으킬 것인지 기대감을 심어주어야 한다. 기대감이 있어야 시민적 공감대가 만들어지고 공감대가 형성돼야 시정의 추진력이 생긴다. 물론 ‘청와대 선거개입의혹’으로 인해 송시장이 정상적으로 시정에 몰입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님을 모르지 않는다. 하지만 시정연설은 송시장이 단독으로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다. 울산시 각 실·국의 정책이 총체적으로 반영돼 나오는 것인만큼 공직사회의 기강이 반영될 수밖에 없다. 어려울 때일수록 공직자들이 스스로 책임을 다해야 한다. 송시장의 위기가 곧 울산시의 위기가 돼서는 안 되는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