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와 해양수산부가 울산을 최대의 국제해상디지털 클러스터로 육성하기로 했다. 아직 예비타당성 조사 등 많은 과정이 남아 있지만 울산시와 해양수산부는 이번 사업이 대한민국 조선산업의 성패를 가를 만큼 중요하다고 보고 전력을 다 기울이기로 했다. 울산시와 해양수산부 모두에게 이번 사업은 경제를 살리는 명운을 건 한판 승부인 셈이다.

국제해상디지털 클러스터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바다에서 공동으로 시험·검증하는 체계를 말한다. 이를테면 한국형 이내비게이션 선박, 선박­육상(항만) 간 서비스운영 플랫폼(MCP), 세계 최초의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LTE­Maritime) 등을 말한다. 우선 한국형 이내비게이션은 어선·소형선이 많은 우리나라의 해상교통 환경을 고려한 차세대 해상안전종합관리체계를 말한다. 또 선박­육상간 서비스 운영 플랫폼은 24시간 끊김없이 이내비게이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국제 디지털 정보통신 공유체계를 이른다.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은 우리나라 80%의 선박이 운항하는 연안 100㎞ 해역까지 무선데이터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말한다. 이같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이 바다에서 적용되면 울산 앞바다는 다른 국가와는 다른 한 차원 높은 산업혁명이 일어나게 된다. 특히 울산은 현대중공업이라는 세계적인 조선업체가 위치해 각종 국제해상디지털 기술들이 모여드는 플랫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여기다 해상디지털 기술들이 울산을 중심으로 세계로 보급되면서 국제화와 표준화 등이 이뤄질 경우 울산은 그야말로 해운·조선 산업의 영광을 되찾을 수도 있다.

국제해상디지털 클러스터 구축사업은 문재인 대통령의 울산지역 대선공약이기도 하다. 이 공약이 실질적으로 실현만 된다면 울산은 명실상부한 세계 조선산업의 메카로 확고하게 입지를 다질 수 있다. 또 그 동안 장기불황을 겪어 온 울산의 경제도 크게 좋아질 수 있다.

그런데 해상디지털 클러스터 구축에는 아직도 넘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울산시와 해양수산부의 호흡도 그렇고, 국·시비의 투입 및 지역경제 기여도 평가도 그렇다. 전체적으로 울산경제와 국가경제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은 마땅하나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당장 직면하는 문제가 한두개가 아닐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해상디지털 클러스터 구축은 울산의 미래를 위해 반드시 추진해야 할 숙제가 아닐 수 없다.

양 기관은 올해 10월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계획이다. 바다에서의 4차 산업혁명이 울산에서 일어날 수 있을지 많은 사람들이 지켜보고 있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