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학을 앞둔 학교가 걱정이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차관)은 16일 코로나19 브리핑에서 “개학 연기와 관련해 교육부를 중심으로 정부 내부에서 추가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국가·사회적 영향이 크기 때문에 섣불리 결정할 수는 없겠으나 지금 시점에 개학은 아무래도 무리다. 우리나라에서는 다소 누그러졌다고도 볼 수 있으나 소규모 집단감염이 이어지고 있다. 유럽·미국 등지에서는 감염이 급증하는 추세다. 세계보건기구(WHO)도 팬데믹을 선언했다. 어떤 면에서는 오히려 경계심을 강화해야 하는 시점이다.

16일 ‘대정부권고안’과 ‘대국민권고안’을 발표한 대한감염학회도 “지역사회 전파의 역학적 중심이 될 수 있는 학생들을 보호하기 위해 휴교를 연장할 것을 권고한다”고 했다. 백신과 치료제가 없는 상황에서 코로나19의 전파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사회적 거리두기인데, 아이들이 집단생활을 하는 학교는 사실상 ‘거리두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교실 내 책상을 떼어놓고 단체급식의 방법을 바꾼다고 해도 수십명 수백명의 아이들이 한 공간에서 비슷한 패턴으로 움직이는 학교는 집단감염의 우려가 가장 큰 공간이 될 수밖에 없다. 아이들의 발병률이 낮고 가볍게 넘어간다고는 하지만 아이들로 인해 지역사회 전파가 확산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일반 국민들도 다수가 개학 연기를 바라고 있다. 리얼미터가 CBS 의뢰로 지난 13일 전국 18세 이상 505명을 대상으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4.4%포인트)한 결과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개학일을 23일보다 더 늦춰야 한다’는 응답이 67.5%로 집계됐다. ‘학사 일정의 혼란을 막기 위해 한번 연기한 23일에 개학해야 한다’는 응답은 21.9%였다. 모름·무응답은 10.6%였다. 물론 4월 개교를 하게 되면 법정수업일수 부족과 대입 일정 등 많은 문제가 생기게 된다. 아이들의 돌봄과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생계, 부식공급업체들의 경영난 등 사회적 여파도 만만찮다.

하지만 코로나19는 초유의 비상사태다. 국민의 건강과 생명이 최우선이다. 아직은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므로 일단 개학을 연기하되 교육부와 교육청, 각급 학교는 그 동안 단단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학교의 방역과 개학 후 학생들 관리체계, 학교 내 확진자 발생 시 매뉴얼 등 세심한 지침이 필요하다. 코로나19를 넘어서 앞으로 언제든지 반복될 수 있는 바이러스 감염 상황에 대한 장기적 대비책까지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