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빈사 상태에 빠진 경제를 구하기 위해 정부가 100조원의 긴급자금을 투입한다. 이는 지난 19일 1차 비상경제회의에서 밝힌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프로그램 규모(50조원)를 5일만에 2배로 확대한 것이다. 다급해진 정부의 이번 조치를 보면 한국경제가 얼마나 절체절명의 위기에 다다랐는지 알 수 있다.

이번 조치는 자영업자와 중소기업 수준을 넘어 중견·대기업, 음식·숙박·도소매·서비스업까지 망라한다. 대기업­협력업체라는 산업생태계를 가진 울산도 직접적인 혜택이 가능해지는 만큼 긴급자원 내역과 투입절차, 시스템 등을 미리 파악해 둘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수출 최전선이라고 할 수 있는 울산이 살아야 국가경제도 살 수 있는 것이다.

24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열린 2차 비상경제회의에서 정부는 중소기업·자영업자에 대한 경영안정자금(대출·보증) 등 금융지원 58조3000억원, 주식과 회사채, 단기자금 시장에 공급되는 유동성 41조8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번 경영안정자금 지원 대상에는 중견·대기업도 포함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일시적 자금 부족으로 쓰러지는 중견·대기업이 없도록 안전장치를 만든 것이다.

울산은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등 3대 주력산업으로 산업구조가 편성돼 있다. 울산지역 기업체들은 이들 3대 주력산업을 중심으로 수직계열화돼 있기 때문에 모기업이 흔들리면 중견 하청업체들은 물론 2차, 3차 하청업체까지 줄줄이 도산을 할 수밖에 없다. 이번에 정부가 경영안정자금 지원 대상에 중견·대기업도 포함시킨 것도 중견·대기업의 유동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울산은 한국 최대의 수출 전진기지다. 수출로 먹고 사는 우리나라의 수출기지가 흔들리면 국가경제는 돌이킬 수 없다.

정부는 기업들이 유동성 문제를 해소하지 못해 도산하는 사태가 벌어질 경우 한국경제가 뿌리부터 흔들릴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문 대통령은 “100조원의 긴급자금은 우리 기업을 지켜내기 위한 특단의 선제 조치임과 동시에 기업을 살려 국민들의 일자리를 지키는 일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코로나19의 끝이 어디인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시장 상황이나 기업의 유동성 위기는 한 치 앞을 내다보기 어렵다. 극장은 텅텅 비어 있고, 인파가 물밀듯이 지나가던 도심의 가게들은 폐업을 준비하고 있다.

정부의 이번 대책은 문제 해결의 시발점이다. 긴급자금 투입의 효과는 속도싸움에서 결판난다. 아무리 재원이 많아도 골든타임을 놓치면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그런 면에서 울산도 타이밍과 신속성을 최우선에 두고 정책을 결정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