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김정범 교수팀

직접교차분화 기법 활용해

암 위험 낮춘 줄기세포 생산

생체 3D 프린팅에 적용 기대

▲ 혈관줄기세포를 개발한 UNIST 김정범(왼쪽) 교수, 박수용 연구원.
UNIST(울산과학기술원) 연구진이 뇌혈관이나 심혈관에 생긴 질환을 고칠 ‘혈관줄기세포’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혈관치료제 개발 뿐만 아니라 생체조직 3D 프린팅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UNIST는 생명과학부 김정범 교수팀이 피부세포에 혈관발달 유전자 두 종을 주입해 혈관줄기세포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혈관이 손상되거나 막히면 조직으로 전해지는 산소와 양분전달이 부족해 ‘허혈성 혈관 질환’이 생긴다. 치료법으로 혈관 구성 세포를 주입해 혈관을 새로 만들고 혈액 흐름을 개선하는 세포치료가 주목받아 왔다. 특히 혈관줄기세포는 2종의 혈관 구성 세포로 분화할 수 있고 일반 세포와 달리 자가증식이 가능해 대량생산에 적합하므로 유력한 세포치료제 후보였지만 배아줄기세포나 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분화된 혈관줄기세포는 임상에 적용하기 어려웠다. 모든 세포로 분화 가능하다는 ‘만능성’이 오히려 암을 유발할 위험을 품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능 분화 단계’를 건너뛰고 특정 세포를 원하는 세포로 바로 바꾸는 ‘직접교차분화’ 기법을 이용해 혈관줄기세포를 만들었다. 피부를 구성하는 섬유아세포에 두 가지 유전자(Etv2, Flil)를 주입해 혈관줄기세포로 탈바꿈한 것이다.

이번에 만들어진 혈관줄기세포는 자가증식이 가능한 데다, 혈관 구성 세포인 혈관내피세포와 평활근세포로 잘 분화됐다. 실험 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도 혈관 폐색 부위에 주입한 뒤 혈류 흐름이 회복되고 혈관이 형성되는 것까지 확인됐다.

김정범 교수는 “배아줄기세포나 유도만능줄기세포에 비해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법으로 혈관줄기세포를 만들어 임상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며 “뇌혈관이나 심혈관에 생긴 질환을 치료할 세포 치료제를 상용화하는 데 한 걸음 다가갔다”고 말했다.

이번에 개발한 혈관줄기세포는 3D 바이오 프린팅의 발전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생체조직을 만드는 3D 바이오 프린팅에서는 조직별 세포뿐 아니라 혈관까지 함께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연구결과는 혈관 생물학 분야의 국제학술지인 ‘동맥경화, 혈전증 및 혈관 생물학’ 온라인판에 3월25일자로 발표됐다. 김봉출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