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석달여 동안 문을 꽁꽁 걸어 잠갔던 울산지역 문화공간들이 조심스레 문을 열기 시작했다. 하지만 고사위기에 처한 예술가와 문화산업들이 되살아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지역문화예술계의 특성에 맞는 지원책이 시급하다.

울산박물관, 암각화박물관, 대곡박물관, 약사동제방유적전시관 등 지역 박물관들이 12일부터 일제히 운영을 재개한다. 관람 인원의 대부분이 유아 및 어린이인 어린이박물관만 추후 개관할 예정이다. 북구지역의 문화공간인 북구생활문화센터, 세대공감창의놀이터, 북구예술창작소, 문화쉼터 몽돌, 박상진의사 생가, 달천철장 관리시설 등도 12일부터 문을 연다. 울산문화재단이 운영하는 아르코공연연습센터@울산과 J아트홀도 대관을 시작한다.

공연장은 오는 21일 울산문예회관가 ‘전원경의 그림콘서트’로, 울주문예회관이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오페렐라 발렐리아’로 문을 연다. 하지만 ‘사람과 사람 사이 2m(최소 1m) 이상 거리 두기’라는 ‘좌석제’가 문제다. 정부는 강제가 아니라 권고사항이라고는 하지만 울산문화예술회관, 울주문화예술회관 등이 이를 도입해 예약을 받고 있다. 문예회관의 기획공연일 경우 크게 문제될 게 없지만 예술인들이나 민간 기획사의 대관공연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좌석의 절반만으로는 수익성이 없어 공연을 할수록 적자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국공연예술경영협회는 지난 11일 성명을 내고 “공연장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공연산업 매출의 90% 이상은 유료 관객으로부터 나오기 때문이다. 정부지침을 따르게 되면 국공립 기관의 무관중 공연만 살아남고 민간 공연 산업의 재기는 불가능해진다. 문화의 특성에 걸맞은 정부의 지원방법이 나와야 하는 시점이다.

특히 지역 예술계는 물론 지역문화산업은 고사위기다. 전업작가들의 상당수는 작품활동과 강의, 행사 참여 등을 통해 생계를 이어가고 있고, 영세하기 이를 데 없는 지역문화산업은 자치단체의 문화행사 참여가 수익사업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지역 예술계가 정부의 다양한 코로나 지원의 사각지대에서 신음소리조차 내지 못하고 앓고 있는 것이다.

울산시는 문화재단을 통해 300개 문화예술단체에 현금 100만원씩 위기극복 특별지원금을 지급한다. 하지만 이는 사업자등록증 또는 고유번호증을 보유한 문화예술단체로서, 최근 2년간 매년 1건 이상의 활동을 증빙할 수 있어야 한다. 단체활동을 하지 않은 예술인들에게는 이마저도 그림의 떡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