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연예술경영협 성명서

“티켓 판매수입에 절대적 의존

국·공립 기관만 살아남을 것”

지그재그 방식의 ‘한 칸 띄워 앉기’가 포함된 ‘생활 속 거리두기’를 민간 공연장 및 클래식 공연 기획사에 한해 유예해 달라는 요구가 나왔다.

한국공연예술경영협회는 11일 성명서를 내고 “사회적 거리두기를 일괄적으로 클래식 공연에 적용할 경우, 특히 티켓 판매 수입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민간 공연 기획사는 공연을 안 하는 것이 이득인 결론에 다다른다”며 이렇게 밝혔다. 그 중 티켓 판매 수입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클래식의 경우 “사회적 거리 두기를 민간 기획사 공연에 유예하는 정부의 적극적인 도움이 없다면 공연예술은 무관중 공연을 이어가는 국공립 기관의 공연만 살아 남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지난달 24일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생활 속 거리 두기’ 세부지침(초안)에는 ‘2m(최소 1m) 이상 거리 두기’ 조항이 명시했다.

협회는 “공연산업 매출의 90% 이상은 유료관객으로부터 나오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조치에 따르면 공연산업의 재기는 결코 기대할 수 없다”면서 “생활 속 거리 두기를 민간 기획사 공연에 유예하는 정부의 적극적인 도움이 없다면 공연예술은 국공립 기관의 무관중 공연 위주만 살아남고, 정상적인 공연 공연예술은 우리의 삶 속에서 영영사라질 지도 모른다”고 토로했다.

아울러 “지난해 공연예술계 종사자를 보호하기 위해 공연예술 분야 표준계약서 3종이 도입됐지만 전염병과 같은 불가항력적 상황에 관련된 공연장들의 대관규약들은 아직도 천차만별이라”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같이 불가항력적인 상황이 발생해 공연진행을 지속할 수 없을 때 민간 공연기획사와 아티스트에게 최소한의 방패막이 돼 줄 수 있는 표준대관계약서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시판되는 행사보험 대부분의 보장 범위는 코로나와 같은 전염병을 포함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재난 상황에서도 보험사의 역할은 그 무게감이 미미하다”면서 “국가 차원에서 행사보험 시장을 확대시켜 불가항력에 의해 공연이 취소 또는 연기 시 기획사가 감수해야만 하는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한편 한국공연예술경영협회는 클래식, 무용, 국악 등 순수공연예술 분야 기획자들이 주축이 돼 창립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