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생활폐기물처리장인 성암소각장의 소각로 1·2호기를 재건립하기로 했다. 2000년 5월에 설치된 소각로 1·2호기는 내구연한인 15년을 넘어 20년째 사용하면서 매년 10억원의 보수비용이 들어가고 있다. 뿐만 아니라 노후화에 따른 성능 저하도 발생하고 안전사고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다행히 울산시가 지난해 3월 ‘성암소각장 재건립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했다.

용역결과는 지난 2월에 나왔다. 소각장 건립 위치를 기존 소각로 옆 주차장으로 잡고 용량은 1일 250t으로 50t을 높였다. 2022년 착공, 2025년 완공이 목표다. 총사업비는 1900억원으로 국비 40% 지원이 포함했다.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와 국비 확보라는 숙제가 남아 있는 상황에서 울산시는 이 사업을 코로나로 인해 침체된 경기활성화를 위한 ‘울산형 뉴딜 정책 3탄’에 포함시켰다. 예비조사와 투자심사를 동시에 추진해 사전절차 이행기간을 줄이고 설계와 시공 일괄입찰 계약을 해서 착공을 예정보다 1년 앞당기겠다고 지난 6일 발표했다.

코로나로 인해 울산지역 경기는 최악이다. SOC(사회간접자본) 조성은 경기활성화를 위해 필요하다. 특히 성암소각장과 같이 반드시 필요한 시설의 건립 시기를 앞당기는 것은 좋은 전략이다. 하지만 SOC는 말 그대로 생산활동과 소비활동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해주는 자본의 하나이므로 장기적 관점에서 문제점을 점검해야만 한다.

소각장의 경우 소각과정에서 유해물질 발생의 우려가 큰 만큼 소각공법이 관건이다. 울산시는 설치비용이 덜 들고 이미 운영상 안정성이 확인된 스토커식을 채택하기로 했다. 하지만 스토커식은 타고 남은 물질을 매립해야 하고 1급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을 비롯해 황산화물, 염화수소, 납, 카드뮴 등 유해화학물질이 발생한다는 적잖은 단점이 있다. 크게 나누어 다른 방식 한 가지는 폐기물을 열분해 가스화 처리한 후 용융하는 방식이다. 이 가스화방식은 공해발생이 적고 슬래그(찌꺼기)를 건축자재로 재활용할 수 있는 반면 설치비용이 많이 든다는 것이 단점이다.

환경문제나 비용문제는 어느 것도 결코 소홀히 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이같은 논란은 지난해 10월 의정부시에서도 있었다. 지역언론에 따르면 의정부시가 소각장 신설을 추진하면서 스토커식을 채택하려 하자 환경부 한강유역환경청이 “스토커 방식 외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신 소각 공법을 검토하라”고 했던 것으로 보도됐다. 소각장은 수십년을 사용해야 하고 모든 시민들의 삶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SOC다. 장기적 관점에서 어떤 선택을 해야 할 지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