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30일 21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원구성(院構成)이 본격화하면서 울산지역 당선인들의 상임위원회 배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회의원들에게 있어 상임위 배정은 의원으로서의 활동 반경과 지역구 현안 해결의 역량이 좌우되는 중요한 일이다.

국회 상임위는 특별위원회를 포함해 20여개에 이른다. 여야 정당이 원구성에서 가장 신경전을 벌이는 것은 상임위원장이다. 특히 모든 상임위를 통과한 법안이 최종적으로 거쳐가는 법제사법위원회(법사위)의 위원장에 대해서는 신경을 곤두세운다. 관례적으로는 위원장은 의석비중에 따라 적당하게 합의를 해왔고 법사위원장은 야당에서 맡아왔다.

하지만 177석의 거대여당이 된 민주당은 일하는 국회로 거듭나려면 이같은 관례를 벗어나야 한다면서 변화를 예고했다. 이는 민주당이 법사위원장과 예결위원장을 가져가겠다는 뜻이다. 우리가 이 대목에 특히 관심을 갖는 이유는 4선의 김기현(울산 남구을·미래통합당) 당선인이 법사위원장을 노리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위(산자위) 위원장을 노리고 있는 3선의 이채익(울산남구갑·미래통합당)의원과 김당선인은 서로가 변수가 되기도 한다. 겨우 6명 뿐인 울산지역 출신에 2개의 위원장을 주기는 어렵다고 보면 김 당선인과 이의원의 혈전이 예상된다. 법사위원장은 통합당으로서 매우 중요한 자리이나 지역 현안을 직접 챙기기에는 한계가 있다. 반면 산자위원장은 산업도시 울산의 미래를 위해 기여할 바가 많은 자리이지만 당의 입장에서는 중요성이 법사위에는 못미친다. 결과가 어떻게 될지 주목된다.

민주당의 이상헌(북구) 의원은 20대에서와 마찬가지로 문화체육관광위원회를 희망하고 있다. 재선이므로 간사를 맡을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초선인 3명의 당선인은 희망 상임위가 겹친다. 박성민(중구) 당선인은 국토교통위(국토위)와 산자위, 권명호(동구) 당선인은 산자위와 환경노동위(환노위), 서범수(울주군) 당선인은 국토위와 산자위를 희망하고 있다.

6명 뿐인 국회의원들이 특정 상임위에 몰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현재 희망대로라면 1, 2순위를 합쳐 4명이 산자위에 몰릴 수도 있다. 모두 1순위에 배정된다고 가정하면 산자위 2명, 국토위 2명이 된다. 또는 당내 경쟁률이 치열한 국토위와 산자위에서 밀려 전혀 예상치 못한 상임위로 배정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20대 국회 초반 윤종오 의원이 환노위를 희망했으나 미래창조과학위원회에 배정되자 상임위 재배정을 요구하며 회의에 불참하는 보이콧을 하기도 했다. 관심 밖의 상임위에서는 역량 발휘가 어렵다. 예상 밖의 불통이 튀기 전에 지역 당선인 간의 협의와 조정이 필요해 보이는 대목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