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민의 숙원사업인 산재전문공공병원의 기본계획이 확정됐다. 착공이 눈앞에 다가왔다는 말이다. 워낙 오랜기간동안 수정과 번복을 거듭해온 사업이기에 근로복지공단과 울산시가 기본계획에 최종합의한 것만으로도 안심이 된다. 비록 1단계에서는 300병상 규모로 산재와 일반병원이 반반인 모양새이긴 하지만 공공의료기능을 갖춘 국립병원이 들어서는 것이 확정된 것만으로도 다행이다. 공공의료 기능이 강화된 500병상 규모는 5년 뒤 2단계 모델로 진행하기로 했다.

1단계 모델은 아급성기(병의 진행과정에서 급성기를 지난 발병 1~3주 사이) 기능과 재활기능을 갖춘 300병상의 공공병원이다. 연면적 4만7962㎡에 일반환자용 120병상, 재활환자용 160병상, 중환자용 16병상, 4개 음압병상 등으로 구성된다. 18개 진료과목에 인력은 의사직 54명, 간호직 228명 등 총 585명으로 구성된다. 지역응급의료기관, 외래 중심의 심뇌혈관 진료, 건강검진센터, 연구소 등도 갖춘다.

5년 뒤에야 500병상 규모의 2단계 모델을 구현하기로 한 이유는 운영상의 적자를 고려한 것이다. 병원 가동률이 100%에 이르는 4년차부터 적자폭이 대폭 줄어든다는 타당성 조사결과를 반영했다. 2단계에서는 단순히 병상을 늘리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지역응급의료센터, 모자보건센터, 심뇌혈관센터 등 공공의료 기능이 대폭 강화된다. 인력도 의사 72명, 간호직 403명 등 937명으로 늘어난다.

국립병원에 대한 기대감이 큰 울산시민들은 여전히 300병상 규모의 산재 중심 병원에 대한 불만이 있을 수밖에 없다. 울산시도 1단계 모델을 먼저 설립한다는데 반대를 했으나 재정적자를 고려해서 양보했다. 문제는 5년 뒤의 약속이행과 병원 입지다. 애초에 500병상으로 확대를 고려한 설계를 한다고는 하지만 기존 주공 아파트와 신설 주공아파트 단지 사이에 자리하고 있어 부지 확장 가능성이 아예 없기 때문이다.

울산대학교병원 등에서 보듯 의료분야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기능이 부여되거나 새로운 의료장비와 기법 등이 도입되기 때문에 계속해서 병원의 확장은 불가피하다. 부지가 확보돼 있지 않으면 즉각적인 대응을 못하게 되면서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후퇴할 수밖에 없다. 만시지탄이지만 더 늦기 전에 장기적 안목에서 입지에 대한 재논의도 필요해 보인다.

울산시와 지역 노동계가 국립재활산재병원 유치를 시작한 것은 2003년이다. 5년만인 2008년 박근혜 대통령이 대선공약으로 산재모병원 건립을 약속했고, 문재인 대통령은 산재전문공공병원으로 옷을 갈아입혔다. 조금이라도 발전된 모양새로 17년만에 일군 성과다. 분분했던 의견은 접어두고 5년 뒤 2단계 모델에 대한 ‘대못’을 박고, 1단계 모델의 성공적 출발을 위해 마음을 모아야 할 때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