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폐관 수순’을 밟고 있는 울산대학교박물관 제1·2 상설전시장 실내전경.

존치 소명자료 요구했지만
합당한 이유 없다고 판단해
대학, 작년 노무위 거쳐 확정
완전 폐관까진 2년 기간 남아
시민사회·역사문화 단체들
“인력양성 기회 소실 등 우려
박물관 존치 대안 찾아야”

지난 25년 간 울산지역 역사문화 보존과 학술연구에 기여했던 울산대학교 박물관이 1일자 본보 기사를 통해 ‘폐관 수순’을 밟는 것으로 알려지자 지역 문화계 인사들과 관련 전공학도들이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하지만 추가 취재 결과 울산대 박물관의 현 상황은 폐관 가능성이 높은 정도가 아니라, 이미 울산대학교 대학본부 차원에서 공식 절차를 통해 폐관을 확정했고 내부적으로도 이미 박물관 정리를 위한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확인돼 향후 논란이 예상된다.

 

울산대학교 박물관 폐관은 이미 2018년 대학본부 자체 감사 과정에서 공식 논의됐다.

조직운영관리 차원의 상시적인 감사였지만 박물관의 기능이나 역할이 25년 전 초창기 개관 당시에 비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했으며 존치를 위해서는 좀더 효율적인 관리 운영 방안이 요구된다는 내용이었다. 그런데 같은 내용이 이듬해인 2019년 4월 대학 법인 감사에서 또다시 제기됐다. 이에따라 대학 본부 측은 같은해 6월부터 박물관을 존치할 것인가, 폐관할 것인가를 두고 본격 검토작업에 들어갔다.

대학 본부 관계자는 “전시관 운영, 누적 방문자 관리, 유적보존 및 대외 학술행사 등 박물관의 역할이나 신규사업 아이템 등을 염두에 두고 박물관 존치에 대한 소명 자료를 요청했다. 수개월을 두고 박물관 및 관련 학과 관계자들과 박물관 유지 운영에 관해 합의점을 찾고자 했다. 하지만 박물관의 적극적 대처가 미흡했고, 합당한 이유를 듣지 못했다고 판단한 것으로 안다. 대학 전체의 조직관리 차원에서 폐관하는 쪽으로 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이후 대학 본부는 11월 기획위원회를 열어 박물관 존속이 더이상 힘들다는 결정을 내렸고, 12월 조직개편과 관련한 노무위원회 의결까지 거쳐 박물관 폐관을 최종 확정했다.

 

현재 울산대 박물관은 완전 폐관까지 2년의 유예기간만 남은 상황이다. 2년제 계약직 연구사에게는 올해부터 2022년 6월까지 박물관 수장고에 남아있는 2300여점 유물을 국립김해박물관으로 이관하는 작업이 맡겨진 상황이다.

다만 이같은 내부사정과는 관계없이 울산지역 등록1호 박물관인 울산대 박물관의 폐관에 대해 시민사회단체와 역사문화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우려의 목소리는 적지않다.

한 향토사가는 “이번달부터 ‘디지털울산문화대전’에서 ‘울산역사문화대전’으로 명칭을 바꿔 재서비스를 시작한 울산역사문화의 총체적인 온라인 사이트 구축에 울산대 박물관팀이 큰 역할을 담당했는데, 그 부분에 대한 평가가 대학 내부에서는 제대로 소명되지 못한 것 같다. 박물관 존치 대안을 위한 방법을 시민사회단체 차원에서 찾아봐야겠다”고 말했다.

또한 “울산대 박물관이 기증 및 발굴조사를 통해 소장했던 유물은 공식적으로 등록된 것만 5500여 점에 이른다. 상대적으로 문화기반시설이 부족했던 울산에서 20여년 이상 지역사 학술연구와 발굴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기관이 사라진다는데 대해 상실감이 크다”고 말했다.

울산지역 공공 박물관 관계자는 “종합대학의 설립 및 평가항목에서 박물관 개관 및 운영사안이 수년전 제외됐다. 일각에서는 이것이 울산대 박물관 폐관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나온다. 울산지역사의 정체성에 꼭 필요한 지역 전문인력 양성의 기회가 사라져 안타깝다”고 했다.

홍영진기자 thinpizza@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