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제7차 울산형 뉴딜사업을 발표했다. 이번 뉴딜사업은 5G를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선도도시 육성’에 맞춰져 있다. 그러나 울산형 뉴딜사업을 찬찬히 뜯어보면 아직도 전혀 구체화되지 않은 상상 속의 그림일 뿐이다. 언제 될지 시기도 불분명하고 예산도 잡혀져 있지 않다. 이 7차 울산형 뉴딜사업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하루빨리 인력과 예산을 마련해야 한다. 그래야 코로나19로 인한 지역경제 침체를 다른 도시 보다 빨리 극복할 수 있다.

울산형 뉴딜사업은 ‘한국판 뉴딜사업’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다. 정부의 한국판 뉴딜사업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경기 회복을 위해 마련한 국가 프로젝트를 말한다. 이 프로젝트는 디지털 인프라(데이터·5G·인공지능) 구축, 비대면 산업 육성, SOC 디지털화 등 3대 영역을 중심으로 추진된다. 불과 한달 만에 만들어진 한국판 뉴딜사업은 각 지자체로 전파되면서 울산지역에서는 ‘울산형 뉴딜사업’으로 이름이 붙여졌다. 정부가 한국판 뉴딜사업을 2~3년 안에 추진하겠다고 하니 울산도 같은 기간에 성과를 올려야 하는 부담이 생겼다.

제7차 울산형 뉴딜사업은 크게 ‘편리하고 안전한 스마트시티 구축’ ‘데이터(DATA)·네트워크(Network)·인공지능(AI) 기반의 산업·문화관광 경쟁력 강화’ ‘시민 맞춤형 선제적 디지털 공공서비스 시스템 구축’ 등 3대 전략으로 요약된다. 공히 ‘디지털 전환’이라는 공통분모가 깔려있다. 울산의 제조업은 정보통신(ICT)과의 융합에 크게 유리할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차 실증사업, 수소산업 육성, 글로벌 에너지 도시 구축 등 스마트시티를 구현하는데도 적합하다.

제7차 울산형 뉴딜사업의 주제는 ‘5G시대 울산의 디지털 전환’이다. 대한민국 산업의 메카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울산에 이 주제가 실현된다면 울산은 다른 도시를 훨씬 능가하는 ‘디지털 산업수도’로서 다시 부각될 수 있다. 비대면 산업, SOC디지털화, 디지털 인프라 구축 등 지역산업은 물론 시민들의 삶에도 획기적인 변화가 올 것이다.

문제는 울산이 다른 도시 보다 먼저 그 계획을 실행에 옮기는 것이다. 뉴딜사업의 생명은 타이밍과 과감한 예산 투입이다. 우물쭈물하다가 다른 도시에 선도적인 지위를 뺏기면 성과도 미진할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