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경제자유구역이 공식 지정됐다. 이번 울산경제자유구역 지정은 지난 2018년 10월 울산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시작으로 수차례의 시행착오 끝에 마침내 이뤄진 것이다. 코로나19로 울산지역 산업이 크게 흔들리고 있는 와중에 이뤄진 이번 경제자유구역 지정은 그래서 더욱 의미있는 쾌거로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경제자유구역 지정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경제자유구역 투자사업에는 그 동안의 험난한 여정 보다 수십배, 수백배 더 길고 힘든 여정이 기다리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2030년까지로 설정돼 있는 울산경제자유구역 사업은 그런 면에서 울산산업의 백년대계를 좌지우지하는 가늠자가 될 것이다.

이번에 지정된 울산경제자유구역은 ‘동북아 에너지 허브’라는 비전과 ‘동북아 최대의 북방경제 에너지 중심도시’를 콘셉트로 하고 있다. 공간적으로는 수소산업거점 지구(1.29㎢, 테크노일반산업단지), 일렉드로겐오토밸리 지구(0.69㎢, 이화일반산업단지), R&D비즈니스밸리(2.72㎢, UNIST·KTX역세권·하이테크밸리) 등 3개 권역(4.7㎢)로 구성돼 있다. 이들 3개 지구들의 핵심 유치업종은 ‘수소산업’이다. R&D비즈니스밸리는 수소와 관련된 연료전지를, 일렉드로겐오토밸리는 수소와 관련된 자동차부품을 연구생산하고, 수소산업거점지구는 수소산업 본부 역할을 하게 된다.

울산은 3개 권역에 오는 2030년까지 총 1조1704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국내외 기업 투자 5조5544억원 유치도 목표로 잡고 있다. 경제자유구역 사업이 성공하면 취업 유발효과가 7만6712명에 이를 것으로 울산시는 분석했다.

경제자유구역 지정에서 한발 더 나아가 실질적 성과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산업부는 “과거에는 미개발지를 지정해 장기간에 걸쳐 재원이 투입됐으나 일부 개발이 지연되는 사례가 발생했다”면서 “이번에는 기존 개발지에 실제 투자 프로젝트 수요가 존재하는 지역을 먼저 고려했다”고 밝혔다. 국가산업과 지역정책의 연계성을 강화해 산업·연구기반 집적 지역을 중심으로 단시일 내 눈에 보이는 성과를 낼 수 있는 지역을 지정했다는 말이다. 울산경제자유구역은 우리나라 수소산업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하는 임무를 받은 것이나 다름없다. 단시일 내에 가시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면 수년 후에는 지정 해제를 당할 지도 모를 일이다. 산업부는 이날 울산을 비롯한 광주(AI융복합지구와 미래형자동차산업지구 및 스마트에너지산업지구)와 황해(경기 시흥·육해공무인이동체 R&D거점지구) 3곳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면서 동시에 광양만권 율촌3산단은 성과부진으로 지정을 해제했다.

울산시는 그 동안 코로나19를 계기로 울산의 산업구조를 혁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미 울산에서는 기존의 조선 등 중후장대한 산업에 디지털을 접목하는 스마트 산업이 한창 진행되고 있다. 한발 더 나아가 경제자유구역을 선제적이고 공격적인 산업구조 다각화의 새로운 출발점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