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모금운동 해서라도...

▲ 울산대학교박물관 내 상설전시장.

박물관 지키자는 여론부터
박물관 5300여점 소장유물
타지역 유출 막자는 의견도
울산박물관 역할론 주장엔
“조심스럽지만 고심해볼것”

최근 본보가 연속보도한 ‘울산대학교박물관 폐관’과 관련해 시민들의 의견이 쏟아지고 있다. 주요내용은 울산대학교 본부가 이미 폐관을 확정했지만 유예기간이 남은만큼 이를 되돌릴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거나, 최소한 울산지역 유물이 타 지역으로 나가는 일은 막자는 것이다.

기사를 접한 시민들은 ‘시민모금운동이라도 해서 박물관을 지키자’는 의견부터 ‘문화재를 지키는 일은 울산의 혼을 지키는 일’ ‘경제논리때문에 가치있는 것들이 버려지면 안된다’ ‘이 참에 전국에 흩어진 울산유물 전수조사를 하자’ 등 다양하게 이어지고 있다. ‘우리 주변의 문화시설에 너무 무심했음을 반성한다’는 한 시민은 “지역민의 무관심과 대학측의 경제논리, 박물관측의 무사안일 등이 역사문화시설을 폐관에 이르게 한 것 아니냐”고 토로했다.

울산대박물관 관계자들에 대해서는 시설폐관이 확정될 때까지 도대체 무엇을 했느냐는 비난론에 이어 최소한의 직원만 남은 상황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겠느냐는 동정론도 나왔다. 이어 2년의 유예기간 동안 한국대학박물관협회·울산박물관협의회 등이 적극 나서 지역유일 대학 박물관 폐관을 막아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무엇보다 울산대 박물관의 5300여점 소장유물이 김해국립박물관으로 옮겨진다는데 분통을 터뜨리는 시민이 많았다. 울산 유물의 외부 유출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어쩔 수 없는 과정이기도 하다. 출토 유물은 원칙적으로 소유권이 국가로 귀속된다. 울산대 박물관이 갖고있던 유물 역시 마찬가지다. 다만 그 동안은 연구 등의 목적으로 ‘임시보관’이 가능했다. 하지만 박물관이 폐관하면 사정이 달라진다. 국가귀속유물 처리규정에 따라 문화재청이 국가귀속을 결정할 당시 지정한 소장처, 즉 김해박물관으로 돌려줘야 한다. 2011년 울산박물관 개관하기 전까지 낙동강 동쪽 유물(울산출토유물 포함)은 국립김해박물관, 서쪽은 국립진주박물관, 부산출토유물은 부산박물관이 소장처였다. 울산박물관이 가져올 수 있는 유물은 결과적으로 2011년 이후 출토유물에만 해당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울산대 박물관의 유물을 울산박물관으로 곧장 옮겨야한다는 주장은 계속 나오는 실정이다. 이에 이상목 울산박물관장은 “관련 유물은 지금이 아니더라도 장기대여 방식으로 언제라도 울산으로 가져올 수 있다”며 “지금은 ‘유물 이관’ 보다 ‘대학박물관 폐관 백지화’를 위해 더 머리를 맞대야 할 시기”라는 입장이다. 이어 “학생들이 역사와 문화재에 대해 교육실습하고 연구자로 성장하는데 중요한 기관이 사라지는 것은 울산으로서 큰 손실이다. 이같은 시민정서가 공감대를 형성한다면 울산대 경영진의 생각도 희박하지만 바뀔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홍영진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