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광역시로 승격한지 23년이 지났다. 그러나 아직도 다른 광역시와는 달리 국가기관이 턱없이 부족하다. 광역시로서 면모를 제대로 갖추지 못한 것이다. 변화무쌍한 새로운 시대를 향해 나아가는데 적잖은 걸림돌이 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기상대다. 맞춤형 기상관측이 절실해진 울산시는 지난해 1월부터 정부에 울산기상대의 기상지청 승격을 요청하고 있다. 기상관측 기능만 갖춘 기상대로서는 만족한 서비스를 기대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사실, 지난해 5월 울산을 방문한 조명래 환경부장관은 “태풍, 지진, 집중호우 등 자연재해에 대비한 맞춤형 기상정보 생산 제공이 필요하다”면서 승격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6월 대구기상지청을 대구기상청으로 승격시키면서도 울산기상지청 승격은 외면했다. 행안부는 “울산의 인구 성장이 꺾인데다 대구·부산과 생활권역이 같다”는 것을 이유로 내세웠다.

울산이 대구·부산과 생활권역이 같다는 것도 정확한 말이 아니지만 기상예·특보는 생활에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울산은 기후변화에 대한 대비와 지진 등의 재난에 대한 정확한 예보가 필요한 우리나라 대표적 산업도시이다. 게다가 민선 7기 송철호 시장이 국가적 에너지정책에 따라 추진 중인 부유식해상풍력발전은 현장 맞춤형 기상예·특보가 반드시 필요한 산업이다.

울산시민들도 나섰다. 지난해 10월 기상지청승격범시민추진위를 발족하고 주민서명을 받기 시작, 지난 2월까지 8만3008명의 서명을 받아 4월 초 시에 전달했다. 지난 6일 울산시의회는 서휘웅 의원이 대표발의한 ‘울산기상대 기상지청 승격 건의안’을 채택해 중앙부처와 기관에 전달하기로 했다.

울산기상대는 기상대장과 주무관 4명이 근무한다. 생활과 산업, 심지어 금융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예보와 특보 등의 기능은 없고, 지상 기상 관측 위주의 업무를 하고 있다. 전문인력 부족으로 지진 대응 역량을 키우기 어려울뿐 아니라 지역 맞춤형 예보기술의 개발이나 방재·위험기상 대비에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광역시 위상에 걸맞은 기상지청 승격이 시급하다.

기상청은 서울에 본청을 두고 있다. 지방조직은 7개 지방청(수도권, 부산, 광주, 강원, 대전, 대구, 제주)과 2개 지청(전주, 청주), 그리고 7개의 기상대(인천, 울산, 창원, 목포, 춘천, 홍성, 안동)로 운영되고 있다. 밀양과 양산까지 관할하는 울산기상대는 부산지방기상청 산하 최하위 조직이다. 기상지청으로 승격하면 지청장과 관측예보관 29명, 기후서비스과 10명 등 직원 40명으로 조직이 확대된다. 기상정책의 품질이 완전히 달라지는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