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공모를 실시한 ‘국가산업단지 대개조 프로젝트’에 울산이 탈락했다. 산업자원통상부는 경북 구미국가산단, 광주 첨단국가산단, 대구 성서일반산단, 인천 남동국가산단, 전남 여수국가산단 등 5곳을 예비대상지로 선정, 지난달 발표했다.

‘국가산업단지 대개조 프로젝트’는 광역지자체가 주력산업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역내 거점산단을 허브로 하고, 연계산단 또는 도심 지역을 묶어 산단혁신계획을 수립하면 중앙정부가 컨설팅을 통해 계획을 보완하고, 평가를 통해 3년간 부처 예산을 집중 투자해 육성·지원하는 중앙-지방 협력형 사업이다.

산업부, 국토부 등 11개 부처와 일자리위원회가 산업단지 스마트화·환경개선·창업, 고용, 문화여건 제고 등 다부처 융합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그런데 울산은 이 공모사업에 도전했다가 실패했다. 노후화한 울산지역 국가산단을 첨단화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놓친 것이다. 우리나라 근대화를 이끈 대표적 국가산업단지로 노후화로 인해 개조 사업이 전국 어느 산단보다 절실한 울산이 공모사업에서 탈락한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울산시는 내년에 ‘국가산업단지 대개조 공모 사업’에 다시 도전하겠다고 한다. 올해 탈락한 것은 사업계획안의 완성도가 떨어졌기 때문이라고 평가하고 이번엔 전문연구기관에 용역을 의뢰하기로 했다.

울산에는 1974년 조성된 온산국가산단과 1978년 조성된 울산·미포국가산단 2곳이 있다. 2곳을 합치면 면적으로는 706만여㎡에 이른다. 입주기업은 1171개사이고 고용인원은 10만7000여명이다. 이들 국가산단은 우리나라 근대화의 산실이다. 우리나라가 세계대전 이후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다할 정도의 높은 경제발전을 이뤄낸데 이들 산단이 한몫을 톡톡히 했다.

40여년이 흐른 지금도 여전히 우리나라 최대 국가산단이지만 안전과 환경 등에서 불안감이 큰 곳이다. 다량생산을 통한 수출을 위해 생산성에만 초점을 맞춰 조성된 공단이므로 안전·환경 관련 기반시설이 열악하기 이를 데 없어 ‘화약고’라고도 불린다. 게다가 IT, 정보화, 첨단화 등 산업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좇아가기 위한 기반시설도 턱없이 부족하다. 2010년 이후 생산액, 수출액, 고용인수도 동반 감소하는 추세에 놓여 있다. 울산지역 국가산단 개조가 시급하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올해 탈락한 원인을 명확하게 분석해 내년에 재공모가 있다면 반드시 선정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