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알프스 케이블카 사업과 대왕암공원 해상케이블카 사업이 거의 동시에 제3자 공모에 들어간다. 그 동안의 경과를 보면 두개 사업은 이변이 없는 한 대명건설의 최초 제안내용에 따라 사업자가 선정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렇게 되면 울산에는 산악케이블카와 해상케이블카가 동시에 들어서게 된다. 둘 다 민자사업이기 때문에 재정부담은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우려되는 것은 수익성이다. 아무리 자체 타당성 조사를 정밀하게 했다하더라도 사업 자체가 흔들리면 결국 울산시민들의 부담으로 돌아오게 마련이다. 그런 면에서 두번 세번 돌다리를 두드려 보는 섬세함이 필요하다.

최근 우리 경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심각한 중병을 앓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여행·관광 산업은 산업 자체가 침몰하고 있는 중이다. 이 가운데 민자사업자가 울산에 그것도 2개의 케이블카 사업을 벌이겠다고 하니 시민들로서는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 동안 코로나19로 인한 지역경제 침체에 골머리를 앓아온 울산시는 2개 케이블카 사업을 ‘울산판 뉴딜사업’으로 여기고 크게 반기고 있다. 사실 울산시가 지금까지 시민들에게 내놓은 ‘울산판 뉴딜사업’은 대부분 기존 사업들을 재편성한 것들이었다. 케이블카 사업의 파급력은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울산시도 케이블카 사업을 전폭적으로 지원한다는 전략이다.

그러나 전국의 케이블카 사업 현황을 보면 그리 낙관적이지만은 않다. 관광 신화를 기록했던 통영케이블카는 지난해 탑승객 수가 100만명 이하로 떨어졌고, 부산 송도케이블카는 2018년 120만명까지 늘었으나 지난해에는 112만명으로 감소했다. 여수해상케이블카도 2018년 185만명을 기록했으나 지난해 166만명으로 줄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자사업자와 지자체가 케이블카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코로나19 시국를 돌파할 수 있는 대안이 바로 케이블카 사업일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실제 요즘 울산 인근 산과 계곡에는 많은 시민들이 주말마다 산과 바다로 몰려가고 있다. 이른바 ‘포스트 코로나’ 현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울산의 2개 케이블카 사업이 성공하려면 무엇보다 지역 관광자원의 연계가 필요하다. 케이블카를 한번 이용한 관광객들을 다시 오게 하려면 다른 콘텐츠와 결합돼 있어야 하는데 울산은 아직 시스템이나 홍보가 크게 부족하다. 케이블카 사업이 울산관광산업을 견인할 수 있도록 울산시와 울주군의 모든 관광역량을 동원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