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11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코로나19 고용위기 극복을 위한 ‘3차 비상경제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의 핵심 화두는 ‘지역 일자리 지키기’였다. 20여명에 이르는 기관·단체 관계자들이 다 모였지만 결국은 다른 지자체들과 비슷비슷한 정책을 내놓고 침묵만 지켰다. 뾰족한 대책은 없어 보인다.

지금 전국은 일자리가 없어 그야말로 아우성이다. 실업급여가 전국적으로 1조원을 넘었고 고용노동부 일선 창구에는 구직급여를 타가는 사람들이 줄을 섰다. 특히 울산은 제조업과 청년들의 일자리가 휘청거리고 있다. 제조업이 무너지면 청년 일자리가 자동적으로 무너지게 돼 있다. 그러므로 정부와 지자체는 기존 기업체에서 한명이라도 더 남아 있도록 지원을 하고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지금의 일자리를 어떻게 지키느냐 못지않게 새로운 일자리를 어떻게 빨리 창출하느냐 하는 것이다. 우리 사회는 이미 코로나19로 인해 산업의 패러다임이 바뀌어 가고 있고, 일자리의 성격도 급속도로 변해가고 있다. 여기에 4차 산업이 물밀듯이 밀려와 코로나19와 함께 또다른 거대한 쓰나미를 만들어내고 있다. 특히 자동차의 메카인 울산의 경우는 그 동안 써왔던 내연기관 대신 전기차와 수소차가 나타나 조금씩 시민들의 일자리를 앗아가고 있다.

이날 20여 기관단체는 ‘일자리 지키기 협력 선언문’을 채택하고 지역 고용 충격을 흡수하는 방안을 강구했다. 그러나 정작 정답은 없었고 ‘함께 힘 모아, 지역 일자리를 지키자’라는 구호만 남았다. 울산시는 이날 선언문을 전국 첫 사례라면서 크게 홍보했다. 일자리 지키기의 중요성을 모르지 않는다. 그러나 동시에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우려를 갖지 않을 수 없다. 예를 들어 울산시는 6개월간 고용유지장려금 지원, 고용유지에 따른 4대 보험료 지원, 고용안정자금 지원 등을 발표했지만 과연 이 자금이 얼마나 갈지 의문이다. 물론 많은 지역 중소기업들이 생명줄과 같은 이 자금을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지금 울산시는 좀 더 깊고 먼 안목도 가져야 한다. 4차 산업과 포스트 코로나의 새로운 세계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지역 일자리 지키기’와 함께 ‘혁신 일자리 창출’도 절실하기 때문이다. 공격이 곧 방어일 때도 있는 법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