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어진 블루스’ 악보(故 이일우 채보).
함경도 출신 청년 박용익씨

방어진 배경으로 작사·작곡

울산 1세대 대중음악 연주자

故이일우씨 채보로 자료 남아

동구진로지원센터 복원 진행

올여름 일산해수욕장서 공연

오는 6월25일은 6·25전쟁 70년이 되는 날이다. 한반도 전역을 쑥대밭으로 만들었던 6·25전쟁이지만 유독 울산은 다른 지역에 비해 물리적인 전쟁의 상흔이 크게 남아있지 않다.

이런 가운데 당시 울산으로 피난을 온 북녘 청년이 울산 동구 방어진을 배경으로 노래를 만든 것이 뒤늦게 알려졌다. 울산 유일 피난민 노래인 ‘방어진 블루스’다. 이 노래를 울산의 청년이 70년만에 리메이크하는 작업도 진행되고 있다.

‘밤은 깊어 고요한 선창가에서 / 어디로 가려나 고동이 운다 / 등대 산에 아롱진 애달픈 하소 / 오늘도 불러 본다 방어진 블루스

사랑이란 허무한 물거품이라 / 눈물진 넥타이 어루만지며 / 월봉사의 저녁 종소리 어루만진다 / 오늘도 불러 본다 방어진 블루스’

울산 방어진을 중심으로 6·25 전쟁 때 불리던 ‘방어진 블루스’의 노랫말이다.

울산지역 향토학자와 문예인 등에 따르면 이 노래는 6·25 전쟁 발발 후 울산 방어진으로 피난 온 함경도 출신 청년 박용익씨가 방어진 풍광을 배경으로 만들었다. 잠시 인기를 끄는 듯했으나, 1953년 휴전협정과 함께 피란민들이 고향으로 돌아가면서 노래도 서서히 잊혔다. 박씨도 어디론가 떠났다. 이후 사라질 뻔한 이 노래는 울산 1세대 대중음악 연주자인 고(故) 이일우 씨가 채보(악보를 만들거나 모으는 것)해 자료로 남았다. 채보 시기는 1970~80년대로 추정되고, 그 악보는 장세동 울산 동구문화원 지역사연구소장이 소장하고 있다.

울산동구진로지원센터 이진규 사무국장은 올해 초 동구청 소식지 편집회의에서 이 사연을 처음 들었고, 이를 울산 청년들이 복원하자는 아이디어를 냈다. 일명 ‘방어진 블루스 복원 프로젝트’다. 음악 교육가 졸업생, 실용 음악학부 대학생, 프로듀서, 고등학생 등이 역할을 나눠 악보를 복원하고 원곡 버전, DJ 버전, 랩 버전 등 다양한 장르로 리메이크 작업이 이어졌다.

실용 음악학부 대학생 임혜원(25)씨가 색소폰과 드럼에 목소리를 얹어 지난 3월 1차 데모 녹음을 마쳤다. 여기에 랩과 DJ·프로듀서가 편곡한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Electronic Dance Music) 버전까지 작업 중이다. 모두 완성되면 올여름 일산해수욕장 등에서 공연까지 할 계획이다.

이 사무국장은 “6·25 전쟁은 70주년이라는 시간이 말해주듯 요즘 아이들에겐 교과서에서만 존재하는 역사일지 모르지만, 사람과 사랑에 대한 이야기는 세월의 벽을 넘어 신선한 자극이 될 만하다”며 “조선소만 있는 것 같은 동네가 피란민의 고향과 같은 곳임을 청소년들이 알아가는 것에도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홍영진기자·일부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