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사를 방문한 박채은 울산지역향토사. 지역공공기관의 연대오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지역사연구가 박채은씨
홈페이지 분석 조사 결과
울산시·중구·북구 홈페이지
울산의 옛 지명·행정기구
연대 잘못 표기돼 있고
남구는 한자표기 오류 확인
동구·울주 홈피도 마찬가지
“전 공공기관 홈페이지 대상
통합적 검열작업 서둘러야”

‘울산’을 알리는 공공기관 홈페이지는 울산을 대외에 알리는 디지털문화시대 첫 대면(온라인)의 장이다. 공신력이 가장 높아야 한다.

하지만 실상은 그 반대다. 크게는 시·구·군, 작게는 읍·면·동에 이르기까지 관련 홈페이지마다 잘못된 지역사 정보를 표기한 것이 확인됐다.

이를 바탕으로 학문연구가 이어지는데 논문내용 역시 오류가 지속될 수밖에 없다. 전 공공기관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통합적인 검열작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우선 울산을 일컫는 옛 지명과 행정기구에 대한 연대표기 오류가 대표적이다.

‘학성’은 고려시대 울산의 별호였다. 991년(고려 성종 10)의 일로 기록돼 있다. 울산은 또 조선후기 임란에서의 공을 인정받아 ‘울산도호부’로 승격됐다. 1599년(조선 선조 32)의 일이다. 두 시기 모두 울산 역사를 되돌아볼 때마다 자주 언급될 만큼 이정표가 되고 있고, 그런만큼 지역사 연구에도 자주 활용된다.

하지만 시구군 홈페이지에 이에 대한 연대가 잘못 표기된 것으로 확인됐다.

우선 울산시 홈페이지는 ‘조선시대 선조 31년(1598년) 울산도호부 승격’이라고 돼 있다. 울산도호부가 자리했던 중구 홈페이지 역시 1598년 승격으로 알리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학성’ 별호에 대해서도 995년(고려 성종 14)이라고 잘못 표기했다. 이같은 오류는 울산 북구 홈페이지에서도 그대로 반복된다.

다만 울산 남구 홈페이지는 학성 및 울산도호부를 별도로 언급하지 않아 오류를 비껴가는 듯 하지만, 근대이후 연혁을 언급하면서 잘못된 한자를 사용하거나, ‘신정1·2동’의 분동 시기를 잘못 표기하기도 했다.

북구와 동구 홈페이지는 ‘방어진읍’ 승격시기를 각기 달리 표기해 자칫 근현대사 연구에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방어진읍 승격에 대해서는 현재 1936년(울산광역시사·울산지적사)과 1937년(총독부령 제80호·방어진유사) 두가지 의견으로 나뉘어 논란이 진행 중이지만 북구는 1934년을 승격 시기로, 동구는 1936년으로 각각 표기한다. 두 공공기관 내용이 서로 상충하는 것이다.

이와 별도로 동구 홈페이지(동구연혁)는 ‘전하1동과 전하2동 분동’ 시기를 1983년과 1985년으로 중복표기했다. 관리자의 실수일 가능성이 높지만 공공기관인만큼 수정이 시급하다. 동구에서는 지난 1985년 대통령령제11716호에 의거 ‘울산시의 구제 실시로 중구 방어진출장소’가 설치됐다.

무엇보다 울주군 홈페이지는 전체적으로 내용과 한자표기의 오류가 많았다. 옛 울산을 이르던 흥려부(興麗府)를 ‘興麗部’로, 동래부울산군(東萊府)을 ‘東萊部’로 표기해 공공기관이라면 특히나 유의해야 할 옛 행정단위 한자표기를 잘못 썼는가하면, 앞서 언급된 울산의 별호 ‘학성’(991년) 역시 1018년으로 잘못 알리고 있다. 이에 더해 읍면 홈페이지에서도 오류는 계속 발견된다. 우선 웅촌면의 경우 지명 개요에 ‘조선’을 낮추어 이르는 ‘이조’라는 단어를 그대로 사용했다. 연혁에서는 ‘조선 태조부터 임란 직후인 광해군까지 경상도 울산군 서면 웅촌리로 편제되어 있었다’고 돼 있으나 실록의 기록에 따르면 이는 태조가 아니라 태종 13년(1413년)의 일로 확인된다.

또 ‘숙종 년간에 방위편인 서면이 없어지고 울산군 웅촌면으로 전환되었다’는 것 역시 잘못된 것으로, 호적부 등을 확인한 결과 이는 현종 13년(1672)의 일임을 알 수 있다.

언양읍 홈페이지 역시 ‘언양군’ 승격을 조선 26대 고종 때(1896년)의 일이라고 알렸지만 정확한 연도는 1895년이 맞다.

한편 울산지역 행정기관 홈페이지 오류는 지역사연구가 박채은 씨가 본보에 직접 알려 온 것이다.

조사 내용은 상당한 분량이었으나 잘못 된 언론보도 내용과 지역사 연구서의 오류는 지면 사정상 제외됐다.

박채은 연구가는 “각 기관의 홈페이지 정비가 시급하다. 공론화를 거쳐 통일안을 만들어 시일이 걸리더라도 차근차근 정비해야한다. 그래야 후속연구의 오류도 바로 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홍영진기자 thinpizza@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