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특구위원회에서 결정

심의위서 호평 지정 확실시

각종 규제에 발목 잡혀있던

게놈 기반 서비스 성장 기대

세계 헬스케어 시장 공략도

▲ 자료사진
울산시의 ‘게놈서비스산업특구’ 도전의 결과가 6일 공식발표 된다. 최근 중소벤처기업부가 연 규제자유특구 심의위원회에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의 호평을 받았다는 점에서 지정이 확실시 된다.

정부는 6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특구위원회를 연다. 정부는 이날 울산 게놈서비스산업특구, 부산 해양모빌리티, 대구 이동식 협동로봇, 강원 액화수소산업, 충남 수소에너지 전환, 전북 탄소융복합산업, 경북 산업용 헴프 등 8개 특구 신규 지정 여부를 발표한다. 정부는 앞서 지난 29일 명동 소재 서울중앙우체국에서 제3차 규제자유특구 심의위원회를 열고 규제자유특구 신규 지정을 심의했다. 심의에서 울산의 게놈서비스산업은 좋은 평가를 받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하는 디지털 기반의 한국판 뉴딜 사업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박영선 장관은 “정부의 디지털 뉴딜 정책과 맥을 같이 하고 있고, 유전정보를 기반으로 한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을 통해서 향후 감염병 진단과 백신 치료제 후보 물질의 신속 발굴 지원 체계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가 된다”고 호평했다.

규제자유특구란 신기술, 신제품의 지역혁신 성장사업이나 지역전략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규제 특례 등이 적용되는 ‘규제프리존’을 뜻한다. 기존규제 적용배제 및 규제 신속 확인, 실증특례, 임시허가 등 규제혁신이 적용되고 재정·세제 지원 등 혜택을 받게 된다. 울산시가 정한 특구 범위는 테크노일반산업단지, 울산과학기술원(UNIST), 울산대학병원, 울산병원 등 4곳이다. 특구에 참여하는 기관은 기업 6개(클로노믹스 등), 병원 13개(울산대병원, 동강병원 등), 공공기관 3개(울산정보산업진흥원, 한국한의학연구소 등), 대학 2개(UNIST, 울산대) 등 총 24개다.

게놈 기반의 서비스 산업은 글로벌 시장에서 블루오션으로 꼽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각종 규제에 막혀 있다.

예를 들면 울산시는 UNIST 등과 공동으로 전국 최초로 울산 만명 게놈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여기서 나온 방대한 양의 유전정보는 UNIST 슈퍼 컴퓨터에 차곡차곡 쌓이고 있다. 이처럼 UNIST가 가진 유전정보를 넘겨받아 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이 ‘바이오데이터 팜’ 사업이다. 그러나 연구자가 바이오데이터 팜에 유전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는데다, 유전정보는 익명화돼있어 기증자 동의를 받기가 불가능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관련 법령을 만들어야 하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규제자유특구에 지정되면 이같은 규제에 상관없이 연구·개발을 진행할 수 있어 바이오데이터 팜을 선점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세계 헬스케어 시장을 공략할 수 있게 된다.

또 규제의 빗장이 풀리면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기술력과 자본, 인력 등이 자연스럽게 울산으로 집적화되는 효과가 있다. 특구 지정이 확정되면 울산시는 오는 7일 바이오헬스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할 계획이다.

최창환기자 cchoi@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