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당 20락" "30억원을 쓰면 안정권, 20억을 쓰면 위험하다"

 지난 16대 총선 당시 출마자 주위에서 나돌았던 소문으로 결코 과장된 것이 아니라는 게 정치권 인사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특히 올해에는 연말의 대통령선거에다 이에 앞서 광역자치단체장 등 4대 지방선거가 실시되는 점을 감안하면 각종 선거비용이 전례없을 것이란 건 "명약관화"한 상황이다.

 과거 두차례 광역자치단체장 선거때 국내 일부 특정지역의 경우, 당내 공천이 곧 당선으로 인식되면서 공공연히 공천헌금의 기준이 나돌기도 해 금권선거를 더욱 부채질했다.

 문제는 이같은 중앙정치의 폐습이 당공천과는 관계가 없는 기초의원선거에 까지 이어지면서 돈 안쓰는 깨끗한 후보가 힘든 선거를 해야만 했다.

 돈선거가 뿌리뽑히지 않는 것은 당선만을 "는 후보자측은 물론 구태에 물든 일부 유권자들의 책임이기도 하다.

 노골적으로 금품을 요구하는 유권자들이 있는 한 돈선거의 추방은 요원하기 때문이다.

 최근 한 여론조사결과 국회의원 10명 중 7명은 막대한 선거자금이 들게 하는 가장 큰 요소로 유권자의 후진적 태도를 꼽기도 했다.

 지난 98년 6·4지방선거에 낙선한 한 김모씨는 "경험상 유권자의 20∼30% 정도는 노골적으로 돈을 요구했다"면서 "돈 덜쓰는 선거를 위해서는 유권자들의 자세부터 고쳐나가는 일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이상환기자 newsguy@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