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해체기술연구소를 유치한 울산시가 9일 원전해체 강소기업 육성과 전문 인력 양성 관련 정부 공모 사업에 각각 선정됐다. 또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정하는 ‘원전해체융복합단지’에도 선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써 울산은 명실상부 우리나라 원전해체산업의 전략적 요충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2050년까지 세계적으로 해체해야 하는 원전이 420기에 이른다고 한다. 세계 원전해체시장의 규모가 1000조원이라는 분석도 있다. 국내시장도 2050년이면 15조원이나 된다. 지난해 6월 울산시는 ‘세계 최고의 원전해체산업 선도도시 구현을 위한 비전’을 내놓았다. 이 비전에 따르면 울산시는 2024년까지 원전해체산업 기반 구축과 기술자립도 향상에 주력한 다음, 2030년까지 해체 실적 확보를 통한 기술 고도화에 나선다. 이어 2040년까지 해외시장에 진출해 세계시장 점유율 10%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원전해체 강소기업 육성사업에는 정부가 3년간 38억원을 지원한다.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가상훈련을 통해 작업자의 안전 확보와 최적의 해체 작업 훈련 기반을 구축하는 기술로 울산지역 기업인 노바테크가 선정됐다. 원전산업 기술 전반에 능통한 석사급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는 ‘원전해체 융합인력 양성사업’은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가 맡는데, 5년간 22억원의 국비가 지원된다.

무엇보다 기대가 되는 것은 ‘원전해체융복합단지’ 선정이다. 산자부가 선정하는 에너지융복합단지의 하나로 에너지 관련 매출액 비중이 50% 이상인 에너지 특화기업, 연구소, 대학 지원기관을 비롯해 에너지 공기업, 에너지 공급시설, 실증·시험시설 등이 들어선다. 울주군과 부산 기장군에 걸쳐 있는 원전해체기술연구소 반경 20㎞내의 온산국가산단과 장안일반산단이 핵심지구가 된다. 울산시는 2만1000명의 고용창출과 3조2000억원의 생산유발에 화학, 기계, 로봇, 전자산업에 이르는 전후방 산업에 대한 시너지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속에 울산시는 원전해체기술연구소와 원전해체융복합단지를 유치, ‘에너지 허브 도시’를 향한 작은 산 하나를 힘들게 넘어섰다. 하지만 여전히 갈 길은 멀다. ‘원전을 철거하는 준비부터 부지 복원까지의 전 과정’을 통칭하는 원전해체가 공공프로젝트를 넘어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을 지가 우선 미지수다. 일부 학계에서는 공공사업적 성격이 강한 원전해체를 유망산업으로 취급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주장한다. 게다가 뒤늦은 출발로 인해 세계시장 진출이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있다. 기술력 확보와 세계시장 진출이라는 ‘산 너머 산’이 또하나 버티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