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대피소 지도 공개
화학사고 발생 전국 1위
울산 4개 구·군 39곳 지정
학교·주민센터 등 제각각
안내판 없어 실효성 의문

▲ 화학물질안전원이 전국 화학사고 대피장소 안내지도를 공개했다. 울산 남구지역 대피소중 하나인 삼산초등학교 체육관을 알리는 안내판이 교문에 설치되어 있지않다. 김경우기자 woo@ksilbo.co.kr

울산이 올해 상반기 화학사고 발생 건수가 전국에서 가장 높은 가운데 환경부가 화학사고 발생시 대피할 수 있는 전국 화학사고 대피장소 532곳의 현황을 안내지도로 만들어 공개했다. 그러나 정작 지역 대피장소에는 화학사고 대피장소임을 알리는 안내판 등이 없어 실제 사고 발생시 혼선과 함께 인명피해 확산 등이 우려된다.

환경부 소속 화학물질안전원은 지난달 31일 화학사고 발생시 전국 화학사고 대피장소 532곳의 현황과 화학사고 발생시 행동요령을 다룬 ‘화학사고 대피장소 안내지도’를 공개했다. 안내지도는 전국 총 77개 지역 단위로 제작됐으며, 울산에서는 위해관리계획 고지 사업장 분포에 따라 5개 구·군 중 중구를 제외한 남구·동구·북구·울주군 등 4개 구·군에 총 39곳의 대피장소가 지정됐다.

 

지도에는 대피장소명, 주소, 수용가능 인원 정보와 화학사고 발생 시 주민 행동요령, 지역 내 위해관리계획 주민고지 등록 사업장 등이 표시된다. 또 주민고지 정보 중 물질위험성 정보와 주민 행동요령은 QR코드를 통해 스마트폰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정작 지난 1일 방문한 울산 내 화학사고 대피장소에는 대피장소임을 알리는 안내판 등은 설치돼 있지 않았다. 지진·해일 발생시 대피할 장소를 알리는 지진·해일 대비장소 안내판이 대피장소마다 설치된 것과는 대조되는 모습이다.

화학물질안전원은 아직 안내판 제작은 이뤄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화학사고 대피장소는 학교나 체육관, 인근 주민센터 등 전부 제각각이라 안내판이 없을 경우 인근 주민들이 대피장소임을 알기가 어렵다. 또 상당수의 시민들이 대피장소가 적힌 인터넷 누리집보단 지나다니면서 설치된 안내판을 보고 장소를 인식하기 때문에 안내판 제작 및 설치는 필수적으로 이뤄져야 하는 사항이다.

대피장소 인근 주민 손모(여·62·남구)씨는 “우리 같이 나이대가 있는 사람은 인터넷으로 대피장소를 못 찾는다. 지나다니면서 대피장소라고 적힌 안내판이나 현판을 봐야 여기가 대피장소구나 알게 되는 게 대부분”이라면서 “집 근처 초등학교 지진옥외대피장소인 것도 학교 앞에 붙은 안내판을 지나다니면서 봐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울산이 화학사고에 더욱 철저히 대비해야 되는 이유는 울산 내 화학단지가 시내나 주거지와 멀지 않은 지근거리에 밀집해 위치한 곳이 많은데다 화학사고 발생 건수 역시 상당하기 때문이다.

울산의 올해 상반기 화학사고 발생 건수 총 5건으로 전국에서 경기도와 함께 가장 높았다.

 지난 한해 화학사고 건수와도 같아 화학사고 발생이 급증하고 있다. 사고 내용을 보면 시설관리미흡, 작업자부주의, 운반차량사고 등 사고 원인도 다양하다.

 이외에도 울산의 연간 화학물질 및 유독물질 유통량 역시 각각 1억3000만t, 3400만t에 달해 각각 전국 유통량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화학사고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는 더 클 수밖에 없다.

 환경부는 이번에 제작한 안내지도를 전국 지자체에 배포하고 내용을 화학물질안전원 누리집에도 게재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배포와 게재만으로는 시민들이 정보를 알고 접근하기 쉽지 않은만큼 지자체에서 나서서 화학단지 인근 주민들에게 대피장소 안내 및 숙지와 행동요령 교육 실시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김현주기자 khj11@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