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현주 문화부 기자

올해 초부터 시작된 코로나 확산 여파 속에서 다양한 공연과 문화축제가 재개 움직임을 보인다. 하지만 일부 축제는 취소됐고, 대중가수들의 콘서트는 여전히 통제받고 있다.

많은 인원이 한 장소에 모인다는 객관적인 사실에는 차이가 없는데 결과는 극명하게 갈렸다. 때문에 문화예술 행사 개최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달 24~26일까지 서울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TV조선 ‘미스터트롯’ 서울 콘서트는 공연 사흘 전 갑작스럽게 취소됐다.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한 대규모(5000석 이상) 공연 집합금지 행정 명령을 내린데 따른 결과였다. 이와 함께 지난 주말 서울 올림픽공원에서 진행될 예정이던 ‘팬텀싱어3 서울 콘서트’도 같은 이유로 취소됐다. 앞서 그룹 태사자도 1000석 규모의 콘서트를 개최 하루 전에 취소해야 했다.

특히 ‘미스터트롯’ 콘서트 측은 방역 비용으로 총 10억원이 넘는 금액을 투입할 만큼 방역에 만반의 준비를 해왔다.

‘좌석 간 거리두기’를 위해 1만5000석 좌석 중 3분의 1정도인 5200석만 사용하고, 또 발열 확인 및 문진표 작성 등을 실시할 예정이었다. 그럼에도 취소 결정이 내려지며 공연 준비 비용 수십억을 고스란히 빚으로 떠안게 됐다.

이번 결정을 두고 일각에서는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현재 뮤지컬·연극·연주회 등은 공연을 재개하고 있지만, 일부 문화행사는 여전히 열리지 못하고 있다.

실제 울산에서도 행사 기획·진행 전문업체들이 최근 피켓 시위를 벌였다.

울산지역 이벤트 전문업체는 1인 기업부터 최대 15명 이상의 소상공업체로 운영되는데 코로나 이후 시민사회단체의 공식 행사는 물론 축제와 문화행사 등이 취소되면서 90%에 이르는 회원사들이 최대 8개월 이상 개점휴업 상태다.

이에 지난 달에는 운영난을 이기지 못한 관련업체 대표가 극단적 선택을 했고, 또 다른 업체 직원 역시 숨진지 1주일 만에 발견되기도 했다.

이들은 행사 성격에 따라 축소·변경해 시민 문화 향유권을 보장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대로 하반기 행사마저 일괄 삭제된다면 이벤트업계 종사자와 가족들의 생계가 위태롭다는 것이다.

이처럼 문화행사 취소와 진행에 대한 판단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규정화된 매뉴얼이 없는 상태다.

주먹구구식으로 행사 개최 여부를 결정하기 보다는 시민이 안전하게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돼야 한다. 객석 규모를 10%부터 입장을 시작한 프로야구나 축구처럼 공연장 대비 허용 관객 규모를 정해놓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석현주 문화부 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