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통합물관리 방안이 확정적이다. 이로써 반구대 암각화와 울산의 맑은 물 공급문제가 동시에 해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공전을 거듭하던 대구·경북지역의 물문제가 낙동강통합물관리라는 큰 틀에서 해법을 찾음으로써 20년 가까이 지지부진하던 반구대 암각화 보전 방안의 하나인 사연댐 수위조절이 가능해지게 됐다. 울산의 식수댐인 사연댐 수위를 낮추어 암각화가 물에 잠기는 것을 예방하는 것과 동시에 울산의 식수는 운문댐으로부터 하루 7만t을 공급받는다. ‘반구대 암각화 보전과 맑은 물’ 동시해결이라는 울산시의 숙원사업 하나가 해결의 단초를 끼우게 될 전망이다.

정부와 울산·부산·대구·경남·경북 5개 영남권 시도지사가 참가한 가운데 오는 5일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 용역 중간보고회가 열린다. 이 보고회에서는 2개안으로 압축된 울산·대구·경북권 수원 배분 방안을 두고 최종안을 결정할 계획이다. 1안은 구미해평취수장에서 대구로 하루 20~30만t의 물을 공급하고, 모자라는 물을 대구 취수장의 정수처리 능력을 고도화해 공급하는 방안이다. 2안은 안동 임하댐에서 대구로 하루 30만t을 보내고, 나머지는 문산·매곡 취수장에 고도 정수처리해 끌어 쓰는 것이다. 이 2가지 안은 모두 울산에 운문댐물 7만t을 주도록 설계돼 있다. 지자체별로 나눠져 있던 물관리권을 낙동강통합관리라는 큰 틀 안에서 재조정함으로써 자자체간 갈등을 완화하는 방법이다. 5개 시도지사들이 어떤 안이든 결정하면 울산의 문제는 해결되는 셈이다.

환경부와 울산시·문화재청은 이 방안이 확정됨과 동시에 곧바로 사연댐 수위조절을 위한 공사에 착수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갖추어야 한다. 정부의 예산편성이 곧 시작되기 때문이다. 이 사업에는 울산의 운문댐 물 공급을 위한 예산 2500억원을 포함해 1조5000억 내외가 들어갈 전망이다. 정부의 그린뉴딜 사업에 포함시켜 예산을 확보하는 것이 당면과제다.

우리나라 바위그림 국보 2점을 모두 보유하고 있는 울산시도 반구대 암각화(국보 285호)와 천전리각석(국보 147호)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나서야 한다. 그에 앞서 반구대 암각화가 사연댐 수위 조절만으로 보존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도 관심을 갖고 또 다른 보존방안 찾기에도 나서야 한다. 사연댐 수위조절은 반구대 암각화 보존의 시작에 불과하다. 자연 상태에 놓여 있는 바위는 풍화작용이 계속 진행될 수밖에 없다. 사연댐 수위를 낮추어도 언젠가는 사라질 수 있는 암각화를 어떻게 보존해 갈 것인지에 대한 논의도 시작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