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반기 의장을 두고 자리다툼을 벌이던 울산남구의회가 정상화 수순에 들어갔다. 11일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전반기 의장단 구성 때 약속했던 협약서를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미래통합당 의원들도 “각 정당별로 후보를 결정한 후 투표를 위한 회의에 참석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정례회 일정을 모두 허송세월한 남구의회가 비로소 본격 원구성을 시작할 모양이다. 밀린 구정이 해소될 것이라 다행이긴 하다. 하지만 생활정치를 표방하는 기초의회가 의장 자리를 서로 차지하겠다고 65일간이나 구정을 팽개친 의회의 파행을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넘겨서는 안 된다. 의회가 자체적으로 근본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않으면 안 될 일이다.

남구의회의 이번 파행은 정책에 대한 의견 대립 때문이 아니라 순전히 자리욕심에서 비롯됐다. 여야 의석이 7대7로 동일한 남구의회는 전반기에는 더불어민주당이 의장을 맡고 후반기에는 미래통합당이 맡는다는 협약을 하고 의원 전원이 서명까지 했다. 그런데 후반기 의장 선출 시점에 이르자 미래통합당 의원 1명이 선거법 위반 혐의로 물러나고 재선거를 통해 다시 미래통합당 1명이 당선돼 들어온 것을 두고 민주당이 협약을 무효화하려는 바람에 논란이 시작된 것이다. 전제조건이 ‘7대7 동수’라는 것이었다면 크게 문제삼을 일은 분명 아닐터인데 꼬투리로 삼은 것이다.

이로인해 남구의회는 6월초 열려야 했던 정례회의 파행을 시작으로 정례회 45일을 모두 소진해버렸다. 조직개편안 등을 상정해놓은 집행부는 구정이 마비됐다며 의회 앞에서 항의시위를 벌이는 지경에 이르렀다. 주민을 대표해 구정을 잘 보살피고 집행부의 감시기능을 해야 할 의회가 우려와 비판의 대상이 된 것이다.

의장단 선거와 관련한 지방의회의 파행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는 똑같은 의원으로 당선됐지만 의장단이 되면 여러가지 특전을 누리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의원을 대표해 회의를 주재하기 위해 의원들이 선출한 의장의 경우에도 의장이 되는 순간 전 주민의 표를 받아 당선된 단체장에 버금가는 대우를 받게 된다. 의장실과 비서, 차량과 운전기사 등이 제공되는데다 각종 행사에서도 언제나 단체장에 이어 인사말을 하는 것이 관례화돼 있어 개인적으로 정치적 인지도를 높이는데도 매우 유리하다. 의장단의 특권을 대폭 줄이지 않으면 앞으로도 지방의회의 자리싸움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사실, 이같은 특전은 의정활동이나 지역주민들의 복리와는 아무런 연관이 없다. 주민들의 원하는 의회로 거듭나기 위해 의회가 무엇을 해야 할 지 스스로 되돌아보아야 할 때다. 시민단체들도 이 대목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