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R코드 전자출입명부 등

디지털기기 활용 확산 추세

노인·소외계층 정보 격차 커져

손모(76·남구)씨는 최근 등본을 떼기 위해 구청을 찾았다가 난감했다. 입구에서 전자출입명부용 QR코드를 찍으라고 하는데 손씨는 QR코드가 뭔지조차 몰랐던 것. 수기 작성 역시 어려움이 있어 직원의 도움을 받아 겨우 작성할 수 있었다.

손씨는 “신종코로나 때문에 가는 곳마다 QR코드를 찍으라는데 QR코드가 뭔지도 모른다. 요즘에는 어디 갈 때마다 할 게 많으니 그냥 안 나가는 편이다”면서 “노인들에겐 가혹한 세상이다”고 토로했다.

신종코로나로 최근 전자출입명부 작성과 언택트 문화가 자리잡고 있는 가운데 디지털 기기 활용에 취약한 노인들과 아예 기기 자체가 없는 취약계층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특히 최근 수기명부의 개인정보 유출 문제가 불거지면서 전자출입명부 도입이 늘고 있어 디지털 격차는 더더욱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19일 취재진이 방문한 남구 한 술집의 경우, QR코드가 아닌 수기명부는 없냐고 묻자 “되도록 QR로 해달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학업을 이유로 스마트폰을 없앤 최모(31·양산)씨는 “다니는 곳마다 전부 QR코드로 신분증명 요구하는게 이해가 되지 않는다. 모든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가지고 다니는게 아닌데 QR코드로 신분증명을 하라는 건 무리”라고 주장했다.

QR코드뿐만 아니라 언택트 문화와 함께 호황을 맞고 있는 배달앱 등 각종 언택트 기술도 기성세대에는 어렵긴 마찬가지이다. 김선자(62·북구)씨는 집 근처에서 신종코로나 확진자가 나온 이후 외식을 줄이고 되도록 음식을 집에서 만들거나 시켜먹는 편이지만 아직도 배달앱이 어렵다고 밝혔다. 김씨는 “아들이 매번 배달앱으로 대신 시켜주고 있다”고 말했다.

그동안 소외계층의 디지털 정보 격차 문제는 꾸준히 지적돼 왔는데, 신종코로나 확산으로 더욱 심화되고 있는 셈이다. 지역 노인복지관과 사회복지시설들이 중년들을 위한 각종 디지털 기기 이용 수업을 진행해왔지만 현재는 신종코로나로 인해 이마저 멈춘 상태이다.

사회복지 전문가들은 신종코로나로 인해 벌어지는 소외되거나 벌어지는 정보 격차를 줄이기 위해선 정책 수립 단계에서 약자들을 배려하는 대안 마련과 함께 이들이 점진적으로 사회 변화에 따라올 수 있도록 꾸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현주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