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균형발전 차원에서
경기 ‘판교2밸리’ 모델로
광역시 도심융합특구 추진
산업·주거 등 복합 인프라
혁신도시 등 후보지 거론

자료사진

정부가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울산을 포함한 지방 5대 광역시에 ‘판교2테크노밸리’ 형태의 도심융합특구 조성을 추진한다. 우정혁신도시와 장현도시첨단산업단지,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등이 후보지로 거론되는데, 각각의 장단점이 명확해 울산시가 부지 선정에 고심할 것으로 전망된다.

24일 국토부는 도심융합특구 추진을 위한 5대 광역시 협의회 1차 회의를 개최했다. 국토부는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울산과 부산, 대구 등 지방 광역시 5곳에 도심융합특구 조성을 추진하기로 하고 향후 추진 방향 등을 협의하기 위해 회의를 열었다.

국토부는 경기도 성남시 시흥동 일원에 조성된 판교2밸리처럼 산업과 주거, 문화가 어우러진 복합 인프라를 갖춘 고밀도 혁신 공간을 조성, 지역 균형 발전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판교2밸리는 국토부와 과기부, 문체부 등 5개 부처가 협력해 공간을 조성한 뒤 창업·벤처기업 등 450개 회사를 유치했다. 향후 1000개 이상 회사가 입주할 전망이다. 기업 유치에 따른 일자리 창출 및 인규 유입 등의 효과가 발생하고 있다.

국토부가 추진하는 도심융합특구는 기존 개발과 달리 접근성과 정주 여건이 뛰어난 도시 중심지에 고밀도 개발을 진행하는 것으로 도시 재생 개념도 일부 포함돼 있다. 개발과 지원 기능을 집적해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킨다는 의도다.

국토부는 이를 위해 △부지 면적 50만㎡ 이상 △공공기관 등 연계성 △KTX정차역·지하철 등 접근성 △주거 및 상업 등 확보·확보 가능성 △도심 부지 확보 용이성 등의 조건을 내걸었다. 국토부는 사업 추진의 첫 단추를 끼운 상태로 입지 선정은 지자체와 협의한다는 입장이다.

울산은 혁신도시 인근과 장현첨단산단, KTX복합특화단지 등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그러나 국토부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곳이 마땅하지 않아 시가 입지 선정에 애를 먹을 전망이다.

우선 혁신도시 인근은 시내 중심부에 위치한 반면 KTX역 등과 거리가 멀어 접근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점이 단점으로 거론된다. 또 이미 개발을 완료한 상태에서 도심융합특구와 별개로 진행되는 제2 혁신도시 유치까지 감안해야 한다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판교2밸리의 축소 버전으로 평가받는 장현첨단산단은 태화강역과 멀지 않아 접근성이 뛰어나고 혁신도시 공공기관 등의 연계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는 반면 부지 면적이 좁은 점이 걸림돌로 작용한다. 장현첨단산단의 총 부지 면적은 약 30만㎡로 국토부 기준인 50만㎡의 60% 수준에 불과하며 추가 확장 가능성도 낮다.

KTX복합특화단지는 상당 부분 국토부의 기준을 충족한다. 부지 면적이 150만㎡에 달하고 KTX역과 인접해 접근성도 뛰어나다. 현재 추진 중인 복합특화단지 사업의 토지이용계획을 변경하면 사업 추진이 원활하다는 점도 장점이다. 반면 도심과 떨어진 외곽이라는 입지 때문에 국토부의 ‘도심’융합특구라는 기본 콘셉트와 괴리가 있다.

기존 개발지 외에 도심 인근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해 사업을 추진하는 방안도 가능성이 있다. 국토부는 지역마다 여건이 다른 만큼 각 지역의 상황을 감안해야 한다며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배제하지는 않는다는 입장이다.

인근 부산과 대구에 들어설 도심융합특구와의 경쟁을 피하기 위한 콘셉트 선정도 관건이다. 국토부는 각 지자체가 추진 중인 기존 전략사업과의 연계 가능성을 시사했는데, 울산의 경우 수소와 게놈 등이 특구 중심 아이템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국토부는 주 1회 협의체 회의를 운영해 지자체 등과 구체적인 사업 계획을 수립키로 했다. 연내 선도사업지 선정 및 기본 구상 수립 후 내년 1월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한다. 내년 6월께 특별법을 제정해 도심융합특구를 지정한 뒤 2022년 1월 착공할 계획이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