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형중 경제부 차장

최근 쏟아지는 국정감사 자료중 해양수산부의 ‘연안침식 우려 및 심각등급’ ‘연도별 해역별 수질평가지수 등급’과 관련된 결과치가 묘한(?) 대조를 이뤘다.

하나는 해안선을 파괴하는 연안침식이 진정되지 않고 오히려 악화되고 있다는 점이, 또 다른 하나는 지난해 전국 31곳의 해역중 6곳이 전년대비 해수수질이 나빠졌다는 게 요지다. 울산은 어떨까. 이 자료에 따르면 31개 해역중 천수만, 금강하구, 도암만, 삼척오십천하구, 강릉남대천하구, 동해연안 등 6곳은 전년보다 수질등급이 하락했다. 해수수질(등급) 결과 울산의 태화강하구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내리 Ⅰ등급(매우좋음)을 유지했다. 해수부는 전국을 31개 해역으로 세분화해 425개 정점을 측정한 수질평가지수에 따라 해수수질을 Ⅰ등급(매우좋음), Ⅱ등급(좋음), Ⅲ등급(보통), Ⅳ등급(나쁨), Ⅴ등급(아주나쁨)으로 나누고 있다. 현재 국내 연안수질은 2015년보다 나아졌으나 최근 3년간 악화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425곳 해양환경측정망의 수질평가지수 등급평가 결과 해수수질이 우수한 Ⅰ(매우좋음)·Ⅱ등급(좋음) 정점은 2017년 362개에서 지난해 346개로 16개 감소했으며, Ⅳ등급(나쁨)·Ⅴ등급(아주나쁨) 개수는 4개에서 16개로 증가했다. 이런 현상속에서 태화강하구는 통합적 수질관리체계에서 최고수준의 수질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울산연안 침식은 심상찮다. 침식등급에서 C 등급(우려)과 D 등급(심각)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침식우심율’이 전국 주요 연안 가운데 울산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해역별 수질평가지수’와 대비됐다. 지난해 기준 울산의 경우 B등급 1개소, C등급 4개소 등 총 5개다. C등급은 정자, 주전, 진하, 나사 연안이다. 특정지역에 한해서가 아니라 울산 연안전역에서 침식작용이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해수면 상승 등으로 연안침식 문제가 부각되자 정부가 매년 수백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연안정비 사업을 벌이고 있지만 기후변화 현상이 점차 악화되고 있는데다, 연안 지역 개발사업도 가속화되면서 상황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풀이된다.

연안침식 문제는 해수면 상승 등의 자연적 요인도 있지만, 연안에서 일어나는 각종 개발행위에 의해서도 발생하고 있다. 무엇보다 연안침식은 국토의 훼손뿐 아니라 연안 생태계 파괴, 자연방파제 유실로 인한 지역 주민의 안전과도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중장기 대응방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전국 주요무역항에다 천혜의 해안경관을 가진 울산은 연안과 바다 그 자체가 보물이다. 산업과 관광, 시민들의 휴식처까지 미래 먹거리의 보고다. 지자체가 해수부, 행안부, 국토부, 산림청 등 정부 부처와 협력체계를 구축해 연안침식 대응수준을 높여야 한다.

‘강 살리기 프로젝트’를 넘어 보다 강력한 ‘울산 연안회복 프로젝트’를 가동하고 나서야 한다. 지금이 바로 그때다. 이형중 경제부 차장 leehj@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