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 오르기 시작한 울산의 부동산이 식을 줄 모르고 있다. 급기야 울산시는 18일 ‘부동산 가격 안정화 대책회의’를 열고 ‘아파트청약 지역 거주제한제도’ 도입 등 각종 안정대책을 내놨다. 그러나 서울에서 시작된 부동산 바람이 울산에서 멈추기를 바라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렇다고 그대로 방치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정부와 울산시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서라도 울산을 투기장화하는 투기꾼들의 시도를 막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투기자본의 흐름을 면밀히 추적하는 끈질긴 노력이 필요하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남구 신정동 문수로2차아이파크1단지의 전용면적 101㎡는 지난달 13억원 정도에 거래됐다. 지난 6월 동일 면적 매물이 10억6000만원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석달 만에 2억4000원이나 오른 것이다. 옥동롯데인벤스로얄의 전용면적 85㎡ 8층은 지난달 말 8억94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 7월 같은 면적과 층수 매물이 6억1500만원에 거래됐던 것에 비해 2억7900만원이나 올랐다.

이같은 현상은 각종 지수에도 확연하게 나타났다.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의 ‘10월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방 광역시의 매매시장 심리지수는 서울 보다 더 큰 폭으로 뛰었다. 부산은 145.5로 전달 121.4에서 24.1포인트 상승했다. 울산은 131.8에서 152.7로 20.9포인트, 대구는 135.2에서 149.9로 14.7포인트 올랐다. 서울에서 억눌렸던 투기자본이 지방에서 풍선효과로 나타난 것이다.

알다시피 울산의 집값이 뛰는 것은 집이 모자라서가 아니다. 울산시에 따르면 전국의 주택보급률은 104.2%이지만 울산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110.3%다. 자가보유율도 63.7%로 전국 평균 56.2%보다 훨씬 높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수도권 부동산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자 외부 투기자본이 울산과 같은 비규제지역으로 넘어온 것이다. 이들은 주거 선호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갭투자를 해 가격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

울산시는 아파트 구입 여력이 없는 고령가구, 신혼부부 등으로 대상으로 공공임대주택을 보급하고 주거급여 지원을 확대하는 등의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 또 아파트청약 지역 거주제한 시행도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

주택정책은 ‘신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만일 부동산 불법 중개나 집값 담합, 불법청약 등이 울산에 횡행한다면 누가 울산에서 살고 싶겠는가. 울산은 과거에도 극심한 투기가 있었던 적이 있다. 정부와 울산시가 투기자본들의 이동을 면밀하게 파악해 대처하지 못한다면 울산시민들의 신뢰는 또 추락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