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중곤 울산시 미래신산업과 과학기술담당사무관

울산은 산업이 번성한 도시다. 다수의 산업부문에서 랭킹 1위를 차지하고 있어 부쳐진 ‘산업수도 ’라는 이름. 울산에 걸맞은 이름이다.

그런데 제조업을 중심으로 양적 성장의 고삐를 죄는 동안 울산에는 이산화탄소(CO₂) 배출량 급증이라는 깊은 그늘이 생겨 버렸다. 산업발전과 CO₂배출은 동전의 양면 같아서 부정적인 측면을 간과하는 사이 CO₂과다 배출 도시로 인식되었음을 부정할 수 없다.

근래에 이상 기후로 인한 자연재해가 지구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기후학자들은 원인으로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를 지목하고, ‘자연재해(Nature disaster)’는 ‘기후재앙(Climate catastrophe)’이라고 표현한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재앙은 대륙을 가리지 않고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기후재앙을 막기 위해 이상기후의 주범인 온실가스 즉 이산화탄소 감축을 전지구적으로 대응해야 할 인류 최대의 난제(難題)임이 분명하다.

이런 가운데 국제적으로도 CO₂를 비롯한 온실가스 배출을 제한하여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한 ‘파리기후변화협약’이 내년 1월부터 시행된다.

협약은 2100년 지구의 평균기온 상승을 산업화(1850년대) 이전 대비 1.5℃ 이하로 제한하기 위한 노력을 세계 각국이 이행하기로 한 것으로, 나라마다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유엔(UN)에 제출하고 이행과 보고를 통해 지속적·점진적 감축 노력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협약에 따라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배출전망치(BAU) 대비 37%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UN에 제출했다. 국가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2030년 BAU(8억5060만t) 기준 3억1470만t을 감축해야 한다.

현재 산업계는 CO₂발생량 자체를 줄이기 위해 CO₂를 대기 중에 배출하지 않고 포집해 저장하거나 활용하는 것이 유일한 대안으로 인식하고 있다.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과 국내에서 탄소포집저장기술(CCS,CO₂를 포집해 지중 또는 해저지층에 영구 저장하는 기술)과 탄소포집활용기술(CCU,포집한 CO₂를 화학, 생물학적 변환 과정을 거쳐 산업 원료로 활용하는 기술) 개발이 진행돼 실증 및 상용화 단계에 들어섰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CO₂배출량 감축 문제를 친환경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CCU기술의 잠재력과 경제적 파급효과를 직감한 울산시가 정부의 4차 규제자유특구에 도전장을 내어 지난달 13일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최종 지정을 받았다. ‘울산 이산화탄소 자원화 규제자유특구’가 바로 그것이다. 특구사업은 울산폐기물소각시설 등에서 배출되는 CO₂를 철강산업에서 배출되는 제강슬래그와 반응시켜 포집하고, 그 과정에서 생성되는 다량의 이산화탄소 전환물(탄산칼슘)을 건설·화학 소재로 자원화 가능성을 구체적인 BM을 통해 실증하는 사업으로 국내외를 막론하고 울산시가 최초로 시도하는 혁신 신사업이다.

특구사업이 성공리에 완료되면 현행 법령상 ‘폐기물’로 분류되어 유통과 재활용이 제한되고 있는 ‘이산화탄소 전환물(탄산칼슘)’ 관련 규제가 일시에 해제될 전망이다. 이것이 신호탄이 되어 울산이 선도하고 있는 CCU사업이 국내외로 급속도로 보급·확산될 것으로 기대되며, 그에 따른 직·간접 경제효과는 추계하기 어려울 정도로 클 것이다. 수십 억 톤에 달하는 CO₂배출량 감축은 물론 산업폐기물(제강슬래그 등) 재활용과 광물계 탄산칼슘 대체에 따른 천연자원 절약, 신규 CCU플랜트 시장 형성에 따른 전·후방 연관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 및 CCU기술 수출을 통한 무역수지 개선 등 국가 산업경제 발전을 위한 획기적인 토대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것이 울산이 추구하고자 하는 ‘이산화탄소 자원화 규제자유특구’의 의미이자 울산이 대한민국 ‘산업수도’를 넘어 글로벌 ‘산업리더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이룩해야 할 사명이다. 특구사업을 위해 울산의 혁신 역량을 총집결해야 함은 말해서 무엇하랴!

김중곤 울산시 미래신산업과 과학기술담당사무관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