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은 숫자상으로는 면적이 매우 넓은 도시다. 줄곧 7대 특·광역시 가운데 가장 넓은 도시로 꼽혔으나 지금은 인천 다음이다. 울산의 면적은 1060.75㎢이다. 인천이 강화군과 옹진군을 편입하고 인천신항·경인항 항만시설용지, 인천국제공항 공유수면 매립지 등을 토지대장에 등록하면서 1063㎢로 특·광역시 가운데 가장 큰 도시가 됐다. 그러나 울산은 면적만 넓을 뿐 도심은 비좁기가 이를 데 없다. 전체 면적 중 25%가 개발제한구역인데다 도농통합형 도시로 농어촌이 많기 때문이다. 게다가 인천과 비교하면 울산은 도시 확장이 거의 없어 상대적으로 작은 도시가 돼가고 있다. 우리가 좁은 도심을 넓게 쓰는 방법을 강구해야 하고, 그 한 방법으로 방치된 공간의 재활용에 적극 나서야 하는 이유이다.

대표적 사례로 울산시 동구의 ‘부설 주차장 원상회복 사업’을 꼽을 수 있다. 동구지역은 오래된 도시이면서 현대중공업의 급성장과 함께 급속하게 발달해 고질적인 주차장 부족난을 겪고 있다. 이에 동구청은 지난 2018년 동구지역 부설주차장 전수조사를 실시해 불법 사용에 대해 원상회복명령을 내리는 등으로 부설 주차장이 본래의 기능을 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동구지역에서 다른 시설물을 지었거나 물건을 적치해놓는 등으로 불법 사용되고 있던 주차장은 286개소 550면에 이르렀다. 동구청은 이들 주차장에 대해 원상회복 개선명령을 내려 194개소 354면을 원상회복했다. 동구청은 올해도 이 사업을 계속해 남은 92개소 196면도 주차장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주차장 조성은 의외로 비용이 많이 든다. 토지보상비까지 포함하면 1면 조성에 2000만원에서 8000만원까지 들기도 한다. 이번에 동구청이 찾아낸 주차장을 최소금액으로 환산하면 약 70억원에 이른다. 주차장 원상회복은 주차장 부족난 해소는 물론이고 교통질서 회복에도 크게 도움이 된다. 원상회복한 주차장이 다시 불법 사용으로 되돌아가지 않도록 꾸준한 감시와 행정지도도 필요할 것이다.

주차장 뿐 아니라 울산지역 내 공공장소에서 방치된 공간을 찾는 것도 어렵지 않다. 대표적인 곳이 100여개의 교량 하부공간이다. 불법 컨테이너들이 방치돼 있거나 어두침침해서 도시미관을 해칠 뿐 아니라 청소년들의 탈선장소로 이용되기도 한다. 태화강역과 KTX울산역의 자전거주차장도 거액을 들여 조성했으나 이용객이 없어 방치된 공간이나 다름없다. 지역 내 유수시설 10개 9만여㎡도 활용방안을 찾아야 할 공간이다. 한 평도 허투로 쓰지 않겠다는 각오로 ‘방치공간’ 재활용 방안을 마련해 비좁은 도심의 한계를 극복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