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2050년 탄소 제로화를 위한 대장정의 로드맵을 밝혔다. 탄소중립은 2050년 탄소 배출과 흡수 총량을 ‘0’으로 맞춰 사실상 탄소 배출을 제로화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는 올해 목표를 ‘탄소 중립 대장정 추진기반 마련’으로 설정하고 탄소중립 민관협력 거번넌스 구축, 기후 위기 대응 플랫폼 구축, 온실가스 감축 울산선도사업 추진 등 3대 추진 전략을 마련했다.

탄소중립은 2016년 발효된 파리협정과 2019년 UN기후정상회의 이후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두됐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1일 발표한 신년사에서 “올해를 기후변화협약 이행 원년으로 삼고, 2050 탄소중립 추진계획을 구체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울산시도 탄소중립에 초점을 맞추고 모든 제도와 정책을 바꿔나가야 하며, 기업이나 가계 역시 정부 정책에 맞게 각별한 노력을 기울일 수밖에 없게 됐다.

특히 울산의 경우 국가산업단지내 생산공장이 많아 탄소중립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탄소와 관련된 환경규제가 갈수록 강화되는 추세를 감안해 울산시도 선제적인 대응을 할 필요가 있다. 이미 세계 각국은 탄소 국경세 도입, 플라스틱세 신설 등 환경규제를 대폭 강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시에 따르면 지난 2018년 기준 울산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5660만tCO2eq에 달한다. 산업 배출량이 87.4%, 비산업 배출량은 12.6%를 차지한다. 울산의 배출량은 전국 배출량 약 7.8%를 수준이다. 시는 우선 비산업 온실가스 감축 목표 및 로드맵을 구축해 2030년 배출 전망치의 30.4%를 감축하기로 했다.

2050 탄소중립은 결코 쉽지 않은 목표다. 실제로 한국의 탄소 배출량은 지속적으로 늘어났다. 탄소 배출량은 경제성장률과도 밀접하게 연관을 맺고 있다. 따라서 경제성장을 계속하려면 산업구조를 저탄소·고효율 산업 위주로 바꾸어야 한다. 앞서 중국은 2060년까지, 일본은 올 들어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했다. 현재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는 국가는 70여개에 이르고 있다.

문 대통령은 탄소중립의 관건은 ‘기술’이라고 강조했다. 울산시는 그 중에서도 핵심기술이 필요한 그린수소, 부유식 해상풍력, 수소복합허브, 에코 그린 모빌리티 등 에너지 부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탄소중립은 거스를 수 없는 큰 흐름이지만 기존의 산업구조로는 에너지 전환이 결코 쉽지 않다. 그렇지만 이 험한 고개를 넘지 못하면 우리나라는 글로벌 경제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 국가산업단지가 빽빽하게 들어선 산업수도 울산의 역할이 자못 큰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