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 취약계층들이 사면초가의 위기에 처했다. 한쪽에서 유례없는 북극발 한파가 몰아치고 한쪽에서는 제3차 코로나 대유행이 폭풍처럼 구석구석을 휩쓸고 지나간다. 재앙이 닥치면 없는 사람들과 아픈 사람들이 가장 심한 고통을 받는다. 이럴 때일수록 행정이 해야할 일이 많은 법이다.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최근 현저히 줄어들고 있고, 극심했던 한파도 일단 소강상태로 진입했지만 긴장은 절대 늦출 수 없다. 언제 또 한파와 코로나 대유행이 몰려올지 알 수 없는 일이다. 따라서 그 동안 세세하게 신경을 못 썼던 취약계층들의 삶을 다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울산시에 따르면 현재 울산지역에 지정된 한파 쉼터는 937곳이다. 그러나 이 중 627곳(67%)은 코로나19로 폐쇄됐다. 폐쇄된 곳은 경로당과 사회복지시설 등이 대부분이다. 이 시설들은 추위나 더위를 피하는 장소로, 또는 노인들의 대화 장소로 이용됐는데, 이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오히려 코로나19 감염의 온상으로 낙인찍혔다. 모 경로당 회장은 “1년 가까이 경로당에 가질 못했다. 1년을 이렇게 보내다보니 이웃이 어떻게 사는지, 이사갔는지 알 길이 없다.”고 말했다. 이같은 현상은 전에 없었던 것으로, 사회복지 안전망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취약계층을 돌보는 자원봉사 참여자 수도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이전에는 얼굴을 마주보며 했던 자원봉사가 이제는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1365자원봉사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지역 자원봉사자수는 총 6만9584명으로 2019년 11만7581명에 비해 5만명 가까이 줄었다. 자원봉사자 수가 급격히 줄어들었다는 것은 사회 안전망에 큰 구멍이 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울산지역 독거노인과 노숙자 등 약 200명분의 끼니를 책임지던 무료급식소도 지난 11월 이후 멈췄다. 지금은 어디서 끼니를 해결하고 있는지 알 길이 없다. 혼자 사는 노인들과 노숙자들은 절대빈곤층일 뿐만 아니라 질병과 한파 등에는 너무나 취약한 부류들이다. 울산지역 기초생활수급자는 지난해 12월 기준 3만3000명으로, 지난해 1월 2만6000명에서 7000명 가량 증가했다. 이들 7000명 가운데는 코로나19로 인한 실직자들도 상당수 있다. 추위와 굶주림에 노출되고 급기야 생존 위기에 내몰린 사람들도 적지 않을 것이다. 코로나19와 한파의 사면초가에서 위기의 취약계층을 선별하고 구제하는 것이 바로 행정의 역할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