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적 기상현상 근본 원인
전력망 재설계 시급 주장에
전력공급 안정성 불안 우려
일각 화석연료 필요성 강조

▲ 17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동부에서 최근 한파로 인해 전기가 끊긴 한 가정이 이웃집 발전기와 자동차 히터를 이용해 집 난방을 하고 있다. 이 집 주인은 동영상 공유 앱 틱톡에서 이런 식의 난방법을 보고 따라했다고 밝혔다. AP=연합뉴스

미국 남부에서 기록적인 한파로 대규모 정전 사태가 발생하자 전력망 재설계에 관한 논쟁이 일고 있다.

극단적 기상현상은 기후변화의 징후인 만큼 화석연료 대신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전력생산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하지만 날씨에 영향을 많이 받는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가 기저부하를 담당하게 되면 극단적 기상 상황에서 외려 에너지 공급에 차질이 빚어질 수도 있다는 주장도 만만찮다.

17일(현지시간) 미국 NBC방송은 이번 정전사태를 두고 “전력공급이 거의 전적으로 재생에너지로 이뤄지는 미래를 준비하는 조 바이든 행정부에 경고신호가 됐다”고 진단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2주 차에 2035년까지 발전 부문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완전히 없앤다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기후변화는 이번 한파와 같은 극단적 기상의 원인이기도 한 만큼, 발전 부문 에너지원을 화석연료에서 재생에너지로 신속히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기후변화에 따른 북극 온난화로 제트기류가 약해졌고, 이에 따라 평소 제트기류 때문에 북극에 갇혀 있는 차갑고 건조한 공기 덩어리(극소용돌이)가 남하해 이번 한파를 초래했다고 일부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문제는 재생에너지 비율이 높아질수록 현재 기술로는 전력공급의 안전성은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NBC방송은 “풍력과 태양에너지 등은 ‘간헐적’ 에너지원으로, 날씨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고 하루 내내 전력을 생산하지 못한다”라고 설명했다.

반면 화석연료는 전력을 신속하게 생산해낼 수 있어, 수요 변화에 따라 발전량을 수시로 조절하는 ‘운전예비력’을 확보하기에 더 적합하다.

이를 고려하면 화석연료가 도리어 극단적 기상 상황에서 믿을만하다는 게 일각의 주장이다.

유력 보수지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15일 자 사설에서 “좌파의 기후변화 드라이브가 지닌 모순점은 화석연료를 덜 쓸수록 화석연료가 더 필요하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력을 따로 저장해뒀다가 비상시에 끌어다 쓰는 시설 구축이 하나의 해법이 될 수 있다고 NBC는 전했다. 특히 최근에는 대규모 전력망을 가동할 만큼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 제조 기술이 발전하고 비용도 낮아지는 추세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