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울산·경남의 3개 광역자치단체가 연합하여 특별지방자치단체인 ‘동남권광역특별연합’을 구성하는데 울산시도 본격 나선다. 2월 중 행정부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울산 지원단’을 구성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시는 지난해 12월 지방자치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자마자 특별지방자치단체 시범 실시 추진을 제안하겠다면서 특별지방자치단체 설치 준비단을 꾸렸다. 경남도 역시 지난 8일 이미 지원단이 첫 회의를 가질 만큼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울산시가 적극 참여함으로써 동남권광역특별연합이 내년 1월 우리나라 특별자치단체 1호로 출범할 가능성이 매우 커졌다. 지방자치법 개정안으로 2개 이상의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특정한 목적을 위해 광역적으로 사무를 처리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특별지방자치단체를 설치할 수 있게 됐다. 이 법안은 올해 1월12일 공포돼 내년 1월13일부터 시행된다. 부·울·경은 광역특별연합 출범을 위해 오는 4월까지 합동추진단을 구성하고, 8월까지 규약을 마련해 내년 1월까지 행안부 승인을 받을 계획이다.

부산과 경남에 비하면 울산시의 지원단 구성이 다소 늦었다. 그 이유는 울산시가 부산·대구·울산·경남·경북 5개 광역자치단체의 연합에 무게를 두고 있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7월 구성된 영남권미래발전위원회 회장이기도 한 송철호 울산시장은 ‘영남권그랜드메가시티’를 제안했다. 인구 800만명의 3개 시도 연합보다는 인구 1300만명 5개 시도가 연합해야 수도권 일극체제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경남과 경북의 중간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에다가 물문제 등 현안해결에 대구·경북의 협조가 절실한 울산의 입장이 반영된 전략이기도 하다. 하지만 부산·경남은 물론 더불어민주당 차원에서도 동남권광역연합을 강력 추진하는데다, 대구·경북은 행정통합 1호를 목표로 통합에 속도를 더하고 있다. 영남권그랜드메가시티 추진은 쉽지 않은 상황이 됐다.

울산시도 일단 동남권광역연합이라는 대세를 따를 수밖에 없다. 영남권광역특별연합은 동남권광역연합 이후에 차츰 추진하겠다는 것이 울산시의 복안이다. 여기에 더해 울산·포항·경주시의 연대인 해오름동맹을 ‘해오름연합시’라는 특별지방자치단체로 추진할 계획도 세우고 있다. 현안해결이나 산업의 특성상 대구·경북지역과의 연대를 소홀히 할 수 없는 입장이긴 하지만 지금은 동남권광역연합에서 울산의 입지를 확보하는 전략수립에 전력해야 할 때다. ‘살기 위해 뭉친다’고는 하지만 단순히 뭉친다고 해서 살아나진 않는다. 특히 울산은 동남권에서 지리적으로 변방인데다 인구도 상대적으로 적고 정치적 영향력도 부족하다는 약점을 안고 있다. 대등한 연대를 위한 어젠다 설정에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야 한다. 시민적 공감대 형성도 시급하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