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여권 잠룡 아직 우세지만

4·7 재보선 이후 정계 개편

여야 대권구도 요동칠 전망

야권 내 주도권 다툼 속에서

윤석열 역할론에 관심 쏠려

2022년 3월9일 예고된 20대 대통령선거가 1년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재집권이냐’ ‘탈환이냐’를 두고 여야의 대선 레이스가 달아오르기 시작했다.

7일 기준 각종 여론조사 흐름을 보면 일단 더불어민주당 등 범여권 잠룡들의 성적표가 야권보다 우세하다는 분석이다.

이재명 경기지사가 지지율 1위를 이어가고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2~3위로 그 뒤를 추격하고 있다. 국민의힘 주자인 유승민 전 의원, 원희룡 제주지사는 지지율이 한 자릿수에 불과하고 무소속 홍준표 의원,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도 대체로 10%를 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대선 전초전 격인 4·7 재보선 결과와 이후 정계 개편 방향에 따라 여야의 대권구도가 요동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여권에선 친문(친문재인) 주자가 부재한 상황에서 이 지사가 친문 진영의 반감을 딛고 대세론을 형성할지가 관전 포인트다. 친문 진영을 중심으로 ‘제3 후보론’이나 ‘13룡 등판설’이 꾸준히 나오는 것은 이 지사를 믿지 못하겠다는 인식의 표출이라는 분석이다. 이 때문에 당내 경선이 가열될수록 이재명 대 반이재명 전선이 형성되며 분열 양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일부 강성 당원들이 이 지사의 탈당을 계속 제기하는 것도 이런 분위기와 맞닿아 있다.

야권에선 서울시장 후보 단일화와 보궐선거 승패에 따라 정계 개편에서 국민의힘 또는 제3지대의 주도권이 결정될 전망이다. 이 과정에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역할론에 관심이 쏠린다. 윤 전 총장이 ‘반민주당’ 정서 결집 역할을 하며 야권 전체의 파이를 키우거나, 제3지대에 계속 머무르며 야권 분열의 단초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정계 개편 방향에 따라 다자 구도로 대선이 치러질 수도 있다. 진보·보수 진영이 총결집해 양자 구도로 치러진 대선은 2002년(이회창·노무현), 2012년(박근혜·문재인) 두 번밖에 없다.

코로나 상황이나 개헌 논의도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코로나 여파가 대선 정국까지 이어진다면 양극화 해소와 복지 이슈가 대두될 가능성이 크다.

여야 또는 정파간 이해관계와 맞물려 권력 분산형 개헌론이 불거질 경우 1987년 양김 분열로 고착된 현 영호남 지역주의 정치 지형 자체가 허물어질 수도 있어 그 파장을 가늠하기가 어렵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