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이미지

 고위험 자영업 부채 79조원
 도소매 비중 18.8%로 최고

 기업들 재무 건전성도 나빠
‘채무상환 위험 주의기업’ 
 1년새 3.4%p 늘어 36.8%

지난해 자영업자나 기업이 빚으로 코로나 충격을 버텼지만, 코로나 장기화로 빚을 갚지 못할 한계 상황에 몰리는 자영업자와 기업이 점차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시장 금리 상승과 함께 대출 금리까지 오르면 이들의 부담은 훨씬 더 커질 전망이다.

◇ 9개월새 고위험 자영업 10만가구·부채 40조↑…“저소득층 심각”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재무 건전성 측면에서 ‘고(高)위험’군으로 분류되는 자영업자 가구는 작년 말 현재 20만7000가구, 이들의 부채는 79조1000억원으로 추산됐다.

이 분석에서 고위험 자영업 가구는 DSR(소득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율)이 40%, DTA(자산평가액대비 총부채 비율)가 100%를 넘는 가구로 정의됐다.

작년 3월 말과 비교해 9개월 사이 고위험 자영업 가구 수가 9만8000가구, 고위험 부채도 40조4000억원 늘었다.

다만 코로나 피해 소상공인·기업에 대한 원리금 상환유예 조치의 정책 효과를 반영하면, 고위험 자영업자 가구는 19만2000가구, 고위험 부채 규모는 76조6000억원으로 다소 줄어든다. 19만2000가구는 금융부채가 있는 전체 자영업자의 6.5%에 해당한다.

19만2000가구를 기준으로 업종별 구성(금융부채 기준)을 보면, 도소매 비중이 18.8%로 가장 크다. 이어 운수(15.4%), 보건(5.4%), 개인서비스(5.3%) 순이다.

또 소득 계층별로 보면 중·저소득층(1~3분위) 비중이 가구 수 기준으로 59.1%, 금융부채 기준으로 40%를 차지한다.

전체 자영업자의 DSR은 작년 3월 말 37.1%에서 12월 말 38.3%로 1.2%p 올랐다. 자영업자의 LTI(소득대비 부채비율)도 같은 기간 195.9%에서 238.7%로 뛰었다.

◇ ‘채무상환 위험 주의기업’ 1년새 33.4%→36.8%

기업들의 재무 건전성도 계속 나빠지고 있다.

지난해 ‘채무상환 위험 기업’ 비중은 전체 분석 대상기업(2019년말·2020년 3분기말 재무제표가 모두 공시된 상장·비상장기업 2175개의 6.9%로, 2019년의 7.8%보다 0.9%p 떨어졌다.

하지만 ‘채무상환 위험 주의기업’의 비중은 1년새 33.4%에서 36.8%로 3.4%p 오히려 뚜렷하게 늘었다.

채무상환 위험 기업은 이자보상배율, 차입금상환배율, 부채비율이 각 기준(1이상, 5배 이하, 200% 이하)을 모두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다. 채무상환 위험 주의기업은 2개 이상에서 미달한 좀 더 넓은 범위의 재무건전성 위험 기업군을 말한다.

채무상환 위험 기업의 여신은 분석 대상 기업 전체의 금융기관 여신(403조8000억원)에서 10.4%를 차지했다. 2019년의 9%와 비교해 비율이 1.4%p 높아졌다.

채무상환 위험 주의기업의 여신 비중도 1년새 40%에서 40.9%로 늘었다.

한은은 “코로나 확산 이후 기업의 전반적 채무상환 능력이 떨어지고 기업 간 차별화가 심해졌다”며 “향후 실물경제 상황이 호전되더라도 부문간 회복 속도가 차별화하면 기업의 채무상환 능력 개선도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처럼 자영업자나 기업의 대출 상환 위험이 고조된 상황에서 금리까지 높아지면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한은은 작년 7월 이후 단기 지표금리의 평균 상승 폭(0.081%p)을 지표금리 변동에 영향을 받는 변동금리 대출 잔액에 적용해 가계와 기업의 채무상환 부담이 얼마나 늘었는지 분석했다.

분석 결과 시장금리 상승에 따라 기존 가계 대출의 평균 이자율은 0.08%p 높아지고, 이자 부담액은 4000억원 정도 늘어난 것으로 추산됐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