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울산국립대 설립 "범시민 사이버운동"-박일송(범시민추진단 상임의장)
우리 속담에 "우는 아이에게 젖을 준다"는 표현이 있다. 노무현 대통령의 울산국립대 설립약속은 울산시민 60만명이 서명으로 표현한 큰 울음소리에 대한 대답이다. 울산의 국립대설립에 대한 논의는 80년대 말에 울산대학교 이상주 총장을 비롯한 지역인사들이 필요성을 느끼면서 시작되었으나 교육부의 국립대 신설 불가라는 강경한 정책에 부딪혀 좌절, 흐지부지되고 말았다. 그러나 지난 1월29일 노 대통령이 "시골에 학교가 폐교되어도 도시에 학교를 지어야한다"는 비유로 울산국립대 신설의 타당성을 인정, 교육부에 지시함에 따라 21세기 울산발전을 향한 새로운 비전이 열리게 되었다.
 많은 시민들은 이러한 보도를 접하자 마자 너나 할 것 없이 서로 축하하면서 기뻐하고 있으나 사실 이것은 너무나 빨리 샴페인을 터트리는 일이다. 설립계획안이 국무회의를 통과, 대통령령으로 확정, 공포되고 설립예산이 책정되어 개교에 이르기 까지는 험준한 산을 수없이 더 넘어야 한다. 그 과정에 도사리고 있는 각종 복병을 모두 물리치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사실 얼마 전만 하더라도 절대불가입장을 천명해온 교육부의 입장도 그렇지만, 필사적인 몸부림으로 막강한 능력을 발휘해온 전국의 48개 국립대 교직원과 총장님들을 비롯한 전국 300개교가 넘는 공사립대학들의 힘과 수에 대항해 전 국민의 3%에도 못 미치는 110만 울산시민들의 당위성 전쟁이 시작된 것이다. 여기에 더욱 어려운 일은 4월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의 죽이고 살리기 정쟁에 울산국립대 신설방침 문제가 휩쓸리면 이는 한순간에 물거품으로 사라지게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현 상황이 이러니 우리가 샴페인을 즐기며 희희낙락 할 때가 아니지 않은가?
 이제 우리는 신속한 대응전략을 세워 실전에 임해야 한다.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21세기형 전략이 "사이버운동"이라고 판단, 국립대설립 범시민추진단은 이 시민운동을 시행키로 선포했다. 타 지역 언론의 신설불가 방침이 전국으로 확산되어 대세로 굳어지기 전에 전 국민을 대상으로 벌이는 사이버전쟁을 하루라도 먼저 시작하여 기선을 제압하는 일이다. 대응논리 개발은 이미 완성되어 본 추진단 홈페이지에 논문으로 탑재되어 있으므로 시민들 각자는 이를 활용하여 논리적 무장이 가능하다. 이 사이버 논쟁은 울산의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글을 아는 시민들이 모두 참여하여 인터넷을 이용, 매주 일정한 날에 청와대, 교육인적자원부, 국무총리실, 국회, 국민고충처리실 그리고 타 지역 언론매체와 기관의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의견을 개진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이버운동은 가상공간에서 익명의 다수 시민들 사이에서 진행되는 것이므로 자칫 기본적 예의와 규율을 벗어나기 쉬워 감정적, 극한적 대립으로 치달을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상대방을 설득해야하는 입장인 울산은 패배자가 된다. 따라서 먼저 상대방의 노력에 감사하는 말로 시작하면서 우리의 자세는 끝까지 정중하고 간곡한 어조로 울산이 처한 절박한 상황을 설명하면서 수많은 국민들이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대를 이해시켜야 한다. 여기에 국립대 신설의 당위성이 논리적으로 전개되면 더욱 이성적인 접근이 된다. 그리고 신속한 절차진행을 통한 빠른 개교를 부탁드리면서 시민 각자가 바라는 대학의 특성과 규모 등의 희망사항을 제시하고, 방문자의 소속과 이름을 밝히고 회신을 요구하면 된다. 이러한 모든 사항은 홈페이지 방문자의 연령과 직업, 개인적 상황과 능력에 맞는 적절한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아기가 울면 엄마가 젖을 주겠다는 말로 달래지만 다른 바쁘고 복잡한 일로 미룰 수 있다. 그러나 아기가 세차게 울어대면 그제야 일하던 장갑을 벗어던지고 달려와 먹을 것을 준다. 험난한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우리 울산이라는 도시가 먹고 살아가야할 지식을 끈임없이 창출, 공급하게 될 울산국립대학교는 노 대통령의 약속만을 믿고 웃고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확실히 준비해서 달려와 안겨줄 때까지 소리치고 울며 보채야 한다.
 지난 15년간 끌어오던 국립대 설립을 시민들의 결집된 노력으로 확정해 내듯이, 사이버공간을 통한 100만 시민운동으로 우리들이 원하는 울산국립대가 신속하게 개교되도록 하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