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중에 어느 한쪽이 없거나 할아버지·할머니중 한명과 생활하는 한부모 가정의 가장 큰 문제는 아이들이 가난을 대물림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먹고 살기에도 빠듯한 생활때문에 이들 가정의 아이들은 공교육 외에는 빈곤탈피의 유일한 대안인 교육 경쟁에서 거의 소외돼 있다.
 국민기초생활수급자로 선정돼도 실제 생활에 턱없이 모자라는 생계비 지원규모 때문에 사교육은 엄두도 내지 못하고, 이로 인해 교육경쟁에 뒤쳐진 자녀는 다시 빈곤층으로 떨어지는 가난의 악순환이 되고 있다.
 울산지역에는 1천700여가구 4천400여명의 한부모 가정이 기초생활수급자나 저소득 가정으로 선정돼 생계비를 지원받거나 보호받고 있다.
 이들 중 기초생활수급자로 선정된 1천240가구 3천300여명은 수급자 현금지급기준에 따라 31만3천원(1인 가구)에서 115만1천원(6인 가구)까지 기본 생계비를 지원받고 있다.
 그러나 이는 소득이 전무한 상태에서 가장 많이 받을 수 있는 상한액일 뿐 수급자가 실제 손에 쥐는 돈은 지급기준에서 월 소득을 제외한 차액이다.
 지원되는 생계비가 생활비에 모자라 이를 충당하려고 날품팔이라도 하면 소득액만큼 현금지급액이 줄어들어, 생계비 지원은 빈곤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생활고를 겪는 한부모 가정의 아이들은 학원은 커녕, 방과후 학교에서 하는 과외교육조차 제대로 받지 못해 예비 빈곤층 신세로 전락하고 있다.
 자녀 3명과 함께 생활하는 한부모 가정의 가장인 임혜영씨(여·33)는 수급자 생계비만으로 생활을 꾸려갈 수 없어 아픈 몸을 이끌고 식당보조 일을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현금 급여액(4인가구 월 89만7천원)은 소득액을 제외한 월 50여만원을 지원받는데 그치고 있다. 이 돈으로는 자녀 3명의 학용품 값과 기본적인 생활비를 대기에도 빠듯해 아이들 학원보내기는 엄두도 못내고 있다.
 임씨는 "가난을 벗어날 유일한 대안은 교육뿐인데 다니고 싶다는 학원은 고사하고 비용이 저렴한 방과후 학교 과외 프로그램에도 보내지 못하고 있다"고 안타까워 했다.
 사회복지 전문가들은 "부모의 가난 때문에 자녀들까지 교육경쟁에서 뒤쳐져 빈곤을 대물림하는 후진적 복지정책을 개선하는 노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박정남기자 jnp@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