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철강, 섬유 등 주력 제조업 인력의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국가경제의 성장잠재력에도 `빨간등`이 켜진 것으로 지적됐다. .
 대한상공회의소는 31일 `고령화가 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전략`이란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경기침체에 따른 고용부진 심화와 철강, 화학, 섬유, 조선 등 전통주력산업 인력의 급속한 고령화가 원활한 기술이전과 지속적인 기술개발, 기술인력의 고부가가치화 등을 저해하고 국가경제의 성장 잠재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는 지난 2000년에 37~39세이던 조선, 신발, 철강, 섬유 등 전통 제조업 근로자의 평균연령이 불과 2년만에 38~41세로 1~2세 높아지는 등 지속적인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의류와 고무·플라스틱, 조선, 섬유업은 93~2002년 사이에 평균 5~6세 가량 증가하며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갖췄던 일본 조선업계가 인력의 고령화로 경쟁력을 상실한 사례는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고 지적하고 △고령화가 심각하게 진행중인 주력산업에 대한 지원강화 △노동력 이탈방지를 위한 근로세대 부담 경감확대 △실버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 확대 등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 보고서는 우리사회의 고령화와 관련, “고령화사회(2000년)에서 고령사회(2019년)로 바뀌는데 19년밖에 걸리지 않는 세계 초유의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중”이라고 지적하고 “오는 2050년께는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34.4%에 달해 미국 26.9%, 중국 30.0%, 태국 27.6%, 말레이시아 21.1%, 프랑스 32.7% 등 보다 높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