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예타조사 문턱 못넘어
고리 1호기 해체보다 앞서는
연구소 착공시점의 해석 차이
7~8월 재신청 위해 보완 나서
내년 상반기는 돼야 결론날듯

원전해체연구소(이하 원해연) 장비 및 원전 해체 기술 고도화 관련 사업이 기재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문턱을 넘지 못함에 따라 원전해체연구소 건립 지연이 불가피해졌다.

15일 울산시와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산업부와 한수원이 추진한 ‘원전해체 장비 연구개발 사업’이 지난 3월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탈락했다. 이 사업은 원해연에 사용되는 기자재를 고도화하는 사업이다.

총 사업비는 1289억원으로 정부와 지자체가 967억원과 322억원을 부담한다.

기재부는 원해연 착공 시점을 예타 탈락 사유로 든 것으로 알려졌다.

원해연 착공 시점이 고리 1호기 해체 시기보다 최소한 비슷하거나 해체 후가 돼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해체 시점에 앞서 원해연이 설립되면 건물 운영에 따른 비용 등이 증가될 수 있는 만큼 이를 조절해야 한다는 의미다.

예타 탈락 후 한수원은 7~8월 중 예타 재신청을 위해 장비 중복성과 사용성, 이용도 등을 보완하고 있다.

문제는 원전해체 장비 연구개발 사업 예타 통과 지연으로 원해연 건립까지 지연된다는 점이다. 원해연은 장비구축 사업의 일정에 맞춰 착공해야 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5월 신청한 원전해체 장비 연구개발 사업이 10개월 만에 예타에서 탈락된 점을 감안하면, 8월 중 재신청에 들어가더라도 내년 상반기는 돼야 결론이 난다고 전망된다. 만약 재신청에서도 탈락할 경우 원해연 건립은 기약없이 지연될 수밖에 없다.

원전해체 기술확보의 중심인 원해연 건립이 지연될 경우 고리원전 1호기 해체에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울산시 관계자는 “원전해체연구소에서 해체 관련 모든 기술을 처음부터 연구하는 것은 아닌 만큼 원전해체 장비 연구개발 사업 예타 탈락으로 큰 타격을 받지는 않을 것”이라며 “하지만 예타 재신청에서도 탈락할 경우 지장이 생기는 만큼 예타에 충실히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울산시는 원해연 건립 관련 도시계획 심의를 진행해 이달 중 인가할 전망이다. 건축허가는 9월께로 예상된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