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논설위원

그렇게 왔으면 좋겠네/ 천둥 번개에 찢긴 하늘/ 깃발처럼 흔들며 오는/ 장대비 같이/ 아우라지 억수장마 같이// 아, 그러다 장맛비 그친 뒤/ 기적같이 쏟아지는 햇살같이// 사랑도, 올테면/ 그렇게 왔으면 좋겠네

‘장마’ 전문(김시천)

‘장마가 길면 보은(報恩) 색시들이 들창을 열고 눈물을 흘린다’는 옛말이 있다. 보은은 일명 대추골로 불려질 정도로 대추가 유명하다. 이 곳의 대추는 색시들이 시집갈 혼수를 마련하는 유일한 수단이었다. 그런데 긴 장마 때문에 대추가 여물지 못해 색시들은 들창을 열고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반대로 장마가 짧으면 북한의 관북지방 갑산(甲山) 색시들은 삼(麻)대를 흔들며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장마가 짧으면 삼이 덜 자라고, 삼 흉년이 들면 삼베 몇 필에 오랑캐에게 팔려갔기 때문이다.

장마는 흔히들 비가 오래도록 내리는 성가신 귀신 같다고 해서 ‘長摩(장마)’라고 부르지만 사실은 순우리말이다. 한자로는 매실이 익어갈 즈음 내린다고 해서 매우(梅雨), 오랫동안 내린다고 구우(久雨), 더운 여름날에 내린다고 서우(暑雨), 오랫동안 쌓이면서 내린다고 적우(積雨)라고도 한다.

장마는 속담에 그 속성이 잘 나타난다. 장마가 시작되면 모든 작물이 쑥쑥 큰다(오뉴월 장마에 돌도 큰다). 그러나 장마가 오래가면 피해가 발생하기 시작한다(오뉴월 장마에 토담 무너지듯). 가뭄은 아무리 심해도 조금이나마 거둘 것이 있지만 큰 장마가 진 뒤에는 아무것도 거둘 것이 없다(가물 끝은 있어도 장마 끝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칠년 대한에 비 안 오는 날이 없었고 구 년 장마에 볕 안 드는 날이 없었다’.

▲ 장맛비에 물이 불어난 작천정.
▲ 장맛비에 물이 불어난 작천정.

공작산 수타사로/ 물미나리나 보러 갈까/ 패랭이꽃 보러 갈까/ 구죽죽 비는 오시는 날/ 수타사 요사채 아랫목으로/ 젖은 발 말리러 갈까/ 들창 너머 먼 산이나 종일 보러 갈까/ 오늘도 어제도 그제도 비 오시는 날/ 늘어진 물푸레 곁에서 함박꽃이나 한참 보다가/ 늙은 부처님께 절도 두어 자리 해바치고/ 심심하면/ 그래도 심심하면/ 없는 작은 며느리라도 불러 민화투나 칠까/ 수타사 공양주한테, 네기럴/ 누룽지나 한 덩어리 얻어먹으러 갈까/ 긴 긴 장마

‘장마’ 전문(김사인)

필자가 어렸을 때 비가 오면 어머니께서는 항상 밀떡을 해주셨다. 밀떡을 먹으면서 만화책을 보는 재미는 안 느껴본 사람은 모른다. 처마에는 빗물이 추적추적 떨어지고…. 이번 장마도 그저 그렇게 좀 심심하게 지나갔으면 좋겠다. 이재명 논설위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