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재활은 장애인 복지의 핵심개념이다. 외출조차 꺼리는 장애인을 바깥으로 내보내 직업훈련과 사회참여 방법을 가르치고, 홀로서기를 도와주는 과정이 장애인 복지의 목적과 거의 일치한다.
 하지만 울산지역의 장애인 직업재활은 거론하기 부끄러울 정도로 미미하다. 직업재활의 기초단계인 "작업활동 시설"은 장애인 생활시설에서 운영하는 곳을 포함해 4곳. 수요에 비해 시설이 너무 부족한 실정이다.
 "작업활동 시설"에서 기술숙련과 직업훈련을 익힌 장애인이 옮겨가는 "보호작업 시설" 7곳은 대부분 행정기관의 필요에 의해 문을 열어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구나 이들 과정을 거친 장애인들이 일반 기업과 비슷한 보수를 받고 생산활동에 참여하며 홀로서기를 준비하는 "근로시설"은 울산지역에 단 한 곳도 없다.
 장애인의 일반기업 취업은 더 어렵다. 장애인의무고용 적용대상 기업의 근로자 중 장애인 근로자 비율인 장애인 고용률은 지난 2002말 현재 0.87%에 그치고 있다.
 울산지역 장애인 직업재활 업무를 맡았던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이상택(42) 차장은 "울산은 숙련된 기술·기능을 요구하는 장치산업 특성상 장애인의 고용기회가 특히 더 많이 제약받고 있다"며 사회의 많은 관심을 강조했다. 박정남기자 jnp@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