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최대조직인 현대자동차노조가 19일 올해 임금협상안을 확정하고, 이달말까지 회사측에 발송하고 내달부터 본격협상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한다. 4·15총선이 끝남과 동시에 국내 주요 사업장의 노사간 임금협상이 본격적인 시동을 건 셈이다.
 그러나 소비심리의 위축으로 기업마다 갈수록 재고가 늘어나는 등 장기간 얼어붙어 있는 국내경제를 감안할 때 노동계의 올 춘투를 바라보는 국민들의 걱정도 예사롭지 않다고 할 것이다.
 현재 국내 산업계는 경기가 좀처럼 회복조짐을 보이지 않자 위기극복을 위한 공격적인 마케팅을 이미 시작한 상태다. 가전, 자동차, 화학, 항공 등 대다수의 기업들은 특소세 인하 등 최근의 정부 조치들이 당초의 기대만큼 효과를 발휘하지 못함에 따라 다양한 판촉활동에 나서는 등 불황극복을 위한 특단의 조치를 강구하고 나섰다.
 특히 "신 3고"로 일컬어지는 유가, 환율, 원자재 가격의 급등은 올들어 우리경제를 더욱 궁지로 몰아 넣고 있어, 노동계의 올해 춘투를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선도 이같은 위기상황과 맥을 같이한다고 할 수 있다.
 현대차는 지난해 임금과 단체협상을 치루면서 임금 및 노동조건 저하 없는 주5일근무제 수용을 비롯해 무려 1조3천억원에 달하는 파업손실을 입는 등 혹독한 대가를 치룬 바 있다. 때문에 단체협상이 없는 올해 임금협상은 그 어느 해보다도 순조로울 것으로 전망돼왔다. 하지만 현대차노조의 올 임금협상안을 보면 임금인상 외에도 굵직굵직한 쟁점사안이 많아 향후 협상 과정에서 심각한 진통도 배제할 수 없다.
 노사간의 협상은 순수하게 근로자들의 권익과 복지향상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아울러 기업의 경쟁력과 생산성을 저해하지 않는 선에서 슬기롭고 평화롭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국의 부가가치 노동생산성은 미국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생산성본부가 2001년 발간한 "생산성 국제비교"에 따르면 한국 노동자들의 1인당 부가가치는 3만935달러로 미국(6만6천341달러)의 46.6%, 일본(4만9천744달러)의 63.5%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런저런 이유로 향후 진행될 현대차 노사의 임금협상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무엇보다 노동계의 올해 춘투를 가름할 잣대가 될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 국내경제의 사활이 걸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