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과 함께 울산의 주요관심사 중 하나는 "과연 울산국립대가 설립될 것이냐" 하는 것이다. 이 문제는 지난 1월말 노무현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약속한 사항이라서 지역주민들은 이미 기정사실로 받아들인지 오래이다. 그러면서도 그 속에 서운한 감정을 함께 키우고 있다. 대통령 탄핵과 정치권의 총선 일정, 주무부서의 미온적 태도 등으로 4개월째 뚜렷한 진척을 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답보상태에 놓여있는 울산국립대 설립에 청신호가 될 수 있는 새로운 움직임이 부산·경남권 국공립대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어 주목된다. 일종의 "지방 국공립대 활로 찾기"로 "지방대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통합추진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대단히 적극적이다.
 이 같은 움직임은 현재 전국적 현상으로 21세기에 살아남기 위한 국공립대학의 일종의 몸부림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는 민간 차원에서 통합논의가 제기되고 있는 부산대와 부경대 등 부산 지역 대학들과 전남대 목포대, 순천대 등이 관심을 표명하고 있으며, 때마침 경상대와 창원대간에 양해각서 체결이 이뤄짐에 따라 대학간 통합추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이 같은 국공립 대학의 통합추진과정이 울산에도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 올 것으로 기대한다. 지방대학이 살아남기 위해서 통합논의는 빠를수록 좋으며, 이 과정에서 대학의 단과대별 통폐합도 전개될 것이다. 특히 부산·경남지역에서 빠르게 진행되거나 가시화 되고 있는 대학간 통합문제는 결국 울산국립대 설립문제에도 새로운 국면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우리가 기대하는 것은 울산국립대 설립문제도 함께 거론이 돼 부산과 경남, 그리고 울산에 수요와 공급 차원에서 국립대의 배분이 자연스럽게 이뤄졌으면 하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볼 때 울산지역의 국립대 설립은 "산너머 산"의 문제처럼 풀기 어려운 숙제같은 것이다. 따라서 인근지역 국공립대의 통폐합 과정을 통해 일정 지분을 울산에 옮겨오는 방법을 모색해보는 것도 괜찮을 듯 싶다.
 때마침 지역내 여야 정치권도 "울산의 국립대 설립"을 총선 공약으로 내세우지 않았는가. 따라서 정치권과 울산시가 중지를 모아 기존의 주장만을 계속해서 고집할 것이 아니라 새로운 시각과 틀에서 해법을 찾아보면 어떨까. 사안의 민감성과 파장이 큰 문제이기는 하나 지역의 대학들이 통합대열에 나섰으니 울산시도 여기에 신속하게 대처할 시점이라는 판단이 든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