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 전용부두 조성사업이 핵심
2025년부터 개발사업 가시화 전망
오일허브 연계 배후단지 클러스터
수소생태계 조성 협업체계 필수적
액체화물 처리시설 잘 갖춰진데다
석유화학공단 인접 등 지리적 이점
인센티브·규제 ‘선택과 집중’하고
관련시설 집적화로 효율성 높여야

오는 2030년까지 울산항이 ‘동북아 청정 수소에너지 허브’로 변신한다. 항만 내 선박, 하역장비 등이 수소에너지 기반으로 전환되고 수소 생산·물류·소비를 위한 중장기 인프라 구축 계획이 수립된다. 전국 주요항만에서 수소 생산·수입·소비 등 수소항만을 위한 인프라 구축 선도사업이 추진되는데, 울산항은 ‘수소수입 허브’ 기능을 담당한다. 산업수도를 견인해 온 울산항이 전국 최대 액체항만을 넘어 동북아시아 지역의 수소물류를 선점하는 초대형 에너지 물류허브 구축사업과 수소를 매개로 한 신산업 육성 등으로 도시 미래 경쟁력을 한층 업그레이드 시켜나갈지 주목된다. 이같은 계획의 성공열쇠 등을 살펴본다.

◇수입수소 전용터미널, 수소허브 신호탄

울산항에서는 항만 내 수소에너지 생태계 가능성을 확인하고 전 세계 수소항만 모델을 선도할 수 있는 수소항만 민관협력사업이 우선 추진된다. 2020년 기준으로 울산항 유류화물 처리량은 1억5315만t으로 세계 3위 규모다. 이처럼 국내 최대 액체화물 처리항만을 넘어 동북아 에너지 허브인 울산항을 앞으로 블루수소를 생산하거나 해외 그린수소를 수입한 후 내륙으로 공급하는 ‘수소 허브항만’으로 육성하는 게 골자다.

동북아 청정 수소에너지 허브 조성사업의 핵심은 ‘수소 전용부두’다. 우선 울산신항 컨테이너터미널과 인접해 있는 울산 북신항 개발(5만t급 2선석, 2만t급 1선석) 사업이 속도를 낸다. 현재 UPA가 직접 액체부두를 조성하고 있고, 2030년까지 2개 부두를 추가로 조성한다. 이 부두가 수입 수소 전용터미널로 운영된다. 해외에서 그린수소를 수입하는 기능을 맡게 되며 수소 전용부두에는 수소터미널(G2G), 저장탱크, 선박 벙커링, 배관망이 구축된다. UPA가 직접 개발에 나선 북신항 액체부두 1선석이 2024년 완공되는 점을 감안하면 수소 전용부두는 빠르면 2025년부터 개발사업이 가시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6년부터 현재 운영중인 부두를 활용해 소규모 해외수소를 수입한 후 발전소까지 공급하는 시범사업도 추진된다.

북신항 개발과 함께 온산앞바다 일원에 20만DWT급 2선석 개발도 추진된다. 이 사업은 오일허브 2단계와 연동된다. 또 민자 유치로 20만DWT급 1선석 규모의 부두도 개발된다. 이들 사업은 북항사업 진척 정도, 민자개발 수요 등을 감안해 규모 및 시기 등이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들 부두는 에너지 전환 추세에 맞춰 LNG 클러스터, 수소 기지화 등이 예상된다. 특히, 세진중공업과 한국석유공사가 울산 신항 남항지역에 블루수소, 암모니아 클러스터 및 관련 항만시설 건설·운영과 함께 급변하는 에너지산업 환경에서 미래 성장 전략 준비 등에 협력하기로 해 주목받고 있다.

◇수소에너지 허브 성공 키워드

울산항이 수소에너지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수소 하역 전용부두는 물론 수소 생태계 조성 협업체계 구축, 오일허브와 연계한 배후단지 클러스터 조성이 필수요건이다. 다시 말해 공공부문에서의 수소터미널 조성 및 하부시설 개발과 민간부문에서의 수소 상부시설 구축, 해외수소 수입·유통, 수소 구매 공급망이 한데 어우러지는 ‘수소 경제 서플라이체인(생산이나 공급의 연쇄적 과정)’ 항만 공급거점 확보가 성공열쇠가 된다는 얘기다. 이런 측면에서 북신항의 수입 수소 전용부두만 제때 구축되면 인접해 개발되고 있는 LNG개질수소 생산, 수소연료전지, 액화수소, 액화탄산 등을 담당할 오일허브 1단계와 연계해 항만 내 수소에너지 생태계 확충으로 전 세계 수소항만 모델을 선도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높다.

수소에너지 생태계 확충 차원에서 울산시가 추진하고 있는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에너지를 수전해 항만으로 끌고와 배후단지 클러스터에서 활용하는 방안도 고심해 볼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여기다 울산앞바다 동해가스전 실증 등 탄소포집저장기술(CCS) 상용화 일정에 맞춰 탄소저장소를 2030년까지 9억t 이상 확보하는 계획도 울산항의 수소 인프라 확충에 긍정적 시그널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글로벌 미래 에너지 물류를 선도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조기에 개발방향이 정해지는 게 중요하다. 이런 관점에서 중장기 개발계획으로 잡혀 있는 온산앞바다의 오일허브 2단계 사업 구체화를 위해 항만당국의 행정력이 집중되어야 한다. 사실상 온산국가산업단지를 배후에 두면서 항세 확장이 두드러지고 있는 이 남항지구의 적기개발 여부에 따라 울산항이 국내를 넘어 글로벌 수소항만을 선도할 수 있을지가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소항만 특별구역 등 제도 뒷받침돼야

울산항이 수소 물류허브로 조성되는 것은 액체화물 처리시설이 잘 갖춰진데다 반경 10㎞ 이내에 수소 수요처인 석유화학공단 등이 밀집해 있는 지리적 이점 때문이다. 이러한 하드웨어적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수소항만 특별구역 지정 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수소항만이 조성될 필요성과 타당성이 있는 곳을 선별한 뒤 단계적으로 지원해 항만 내 수소 생태계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도입하는데 취지가 있다. 이를 통해 △인센티브·의무(규제)를 필요한 곳에 집중 △수소시설 난개발 방지 △관련시설 집적화를 통한 운영·안전관리 효율성 극대화 등의 효과를 노릴 수 있다. 세부적으로 수소연료를 활용하는 선박, 하역장비 등에 대해 항만시설 사용료 등을 감면하고 수소에너지를 생산·공급·소비하는 기업에게 항만시설 임대료 감면하는 방안 등이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